폐역을 꾸며 작은도서관으로~

2016.06.29

원문_교육부 공식 블로그_http://blog.naver.com/moeblog/220746800669

동촌역 작은 도서관을 가다

지난 몇년 전부터 전국적으로 복고풍이 불고 있습니다. 옛향수를 그리워 하거나 현재의 삶이 너무나 빠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보는데요. 제가 살고 있는 대구에도 옛것을 잘보존하고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구 대구선 폐역(동촌역)을 꾸며 학생들과 주민들을 위한 작은도서관으로 재탄생한 것인데요. 주변에는 산책로와 옛 철길이 있어 어린시절의 추억여행을 하기에도 좋습니다. 동촌역의 작은도서관으로 지금 발걸음을 옮겨보겠습니다.

 동촌역 작은도서관은 대구 지하철 1호선 동촌역 부근에 있습니다. 지하철에서 내린 후 도보 10분 거리에 있는데요. 저는 역에서 바로 가기보다 복고풍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야양공원을 통해 가기로 했습니다. 이곳은 동촌역보다 한 정거장 떨어져 있는 아양교역 부근에 있습니다.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 요즘 가족, 친구, 연인끼리 함께 걷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2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이곳은 동대구와 영천을 잇는 기차길이 있었던 곳인데요. 지금은 이처럼 시민들의 산책공간으로 바뀌었습니다.

아양공원 맞은 편에는 주택가가 즐비하게 들어 서 있다.아양공원 일대에는 감성을 자극하는 화사한 꽃들이 사람들이 반겨주고 있습니다. 주변에는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인데요. 옛 기찻길과 현대 문명이 공존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양공원에서 약 20분 걸으면 허름해 보이는 건물이 하나 보입니다. 아버지 세대에게는 매우 익숙한 역일 것 같은데요. 지금은 폐역이 된 구 대구선의 동촌역입니다. 동촌역은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구 대구선의 한 철도 역이었습니다. 대구선은 1917년부터 2008년까지 90년 동안 대구 시민들의 발이 되었는데요. 지금은 폐역에서 작은 도서관으로 재탄생해 주민들의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도서관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입장료도 없으니 방학을 맞은 학생들이 가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동촌역의 한 편에는 나무로 된 현판이 유독 눈길을 끕니다. 작지만 낭만이 깃든 모습인데요. 어르신들에게는 만남의 장소로 기억될 만한 곳이 이처럼 아기자기한 도서관으로 변했다는 걸 알게된다면 얼마나 놀라울 까요?

 

동촌역 작은 도서관으로 들어가보았습니다. 바깥 모습과는 다르게 내부는 아주 깔끔하고 단정한 느낌입니다. 곳곳에는 나무로 된 탁자와 의자가 마련돼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평일 오후 시간대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발길이 아주 뜸했는데요. 덕분에 저는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일반 공공도서관 보다 규모는 작지만 알찬 책들이 많았다.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소설책이 유독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 밖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 보다 시원한 이곳으로 달려와 잠시나마 책을 읽어보는 건 어떨까요

 어린시절 저희 집에는 다락방이 하나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무서워서 잘 가지도 않았는데요. 이후 성인이 되어 다락방을 잊고 지냈습니다. 동촌역 작은 도서관에서 모처럼 다락방을 만났습니다. 옹기종기 모여 책을 읽는 공간으로 아주 그만인데요. 이곳은 깔끔한 분위기 덕분에 학생들이 공부하기에 좋아 보였습니다. 

 작은 도서관에는 다락방이 하나 있습니다. 동네 친구들이 삼삼오오 모여 숙제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기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어른들이 잠시나마 힐링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좋습니다.

 기차역(?)에서 모처럼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지금은 폐역이 되었지만 역이 주는 즐거움과 정겨움, 추억은 여전히 살아있었습니다. 동촌역 작은도서관은 지역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지난 2006년 문화재로도 지정되습니다.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에게 역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한편 교육공간으로 인정받은 셈입니다. 옛것을 보존하고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동촌역을 볼 때 마다 그런 생각이 더욱 많이 듭니다.

앞으로도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옛 건물과 물건들을 보면 더욱 소중하게 다뤄야겠습니다 


동촌역사 작은도서관 소개 

  • 이용시간평일 09:00~18:00
    주말 00:00~00:00
  • 운영요일월 화 수 목 금
  • 개관일2014년 05월 27일
  • 운영유형공립
  • 홈페이지 http://www.donggu-lib.kr/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테이블 제목
    번호 지역/도서관명 제목
    417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랑로 1-1 (화전동) 화전작은도서관 12/12 아동요리 과자집 만들기
    416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28길 70 (반포동) 반포4동 작은도서관 반포4동 작은도서관이 새롭게 오픈했습니다.
    41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39 (서귀동) 중앙꿈쟁이작은도서관 '꿈쟁이 작은발표회 & 작품전시회' 구경오세요~!
    414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4길 10 (녹번동) 다섯콩작은도서관 다섯콩의 어느날들. ㅣ 도서관 일기
    413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상지곡1길 6 (지곡동) 무지개사립작은도서관 착한동네 방문한 어린이들의 감탄~!!!
    412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3로 111 (오송호반베르디움아파트) 호반 다섯소나무 작은도서관 오송고등학교 샤프론봉사단이 다섯소나무 작은도서관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어주셨어요.♡ [1]
    411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부부로 43 (원곡동)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웰컴! 크로스미디어 영화제' - 모든 사람들이 어울어져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상을 위해(15.11.12)
    410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185 (비아동, 하남지구 호반아파트) 비아까망이작은도서관 주민참여 플랫폼 마을목공소 '맹글라우'
    409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193번길 25 (내방동, 화정 센트럴파크) 내방마루작은도서관 도시형 주민공동체 모임
    4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가마산로 313 (대림동) 언니네작은도서관 동화연극동아리 회원모집 합니다!
    407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랑로 1-1 (화전동) 화전작은도서관 아동요리 생크림케이크 만들기
    406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189번길 25 (화정동) 중앙나누리작은도서관 중앙나누리 작은도서관에 놀러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