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세종] “‘문화도시’, ‘책 읽는 도시’ 세종을 만들겠습니다”
매체명 : 독서신문
보도일 : 2014.11.03
- 평소 독서문화에 대한 생각은.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들의 건전하고 풍부한 정서 함양과 교육열을 충족시키기 위해 평생교육을 권장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고, 이를 위해 시민들의 독서 생활화와 문화활동 제공 등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 시의 신도시지역에는 2013년 12월에 개관해 11만여 도서를 보유한 국립세종도서관이 위치해 시민 누구나 읽고 싶은 책을 볼 수 있어 우리 시 독서문화 저변 강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립세종도서관과 협력해 어린이, 청소년, 부모 등 대상별 맞춤형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읍면지역의 작은 도서관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가까이에서 책을 접하고 이웃 간 문화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을 더 많이 만들고 활성화한다면 시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전문은 상단의 링크주소에 있는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들의 건전하고 풍부한 정서 함양과 교육열을 충족시키기 위해 평생교육을 권장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고, 이를 위해 시민들의 독서 생활화와 문화활동 제공 등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 시의 신도시지역에는 2013년 12월에 개관해 11만여 도서를 보유한 국립세종도서관이 위치해 시민 누구나 읽고 싶은 책을 볼 수 있어 우리 시 독서문화 저변 강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립세종도서관과 협력해 어린이, 청소년, 부모 등 대상별 맞춤형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읍면지역의 작은 도서관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가까이에서 책을 접하고 이웃 간 문화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을 더 많이 만들고 활성화한다면 시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전문은 상단의 링크주소에 있는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085 | [경남] 양산시 시립도서관, 도서관학교 호응 | 매체 :경남일보 | 보도일 :2015.05.27 |
1084 | [전국] 문체부,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 확대 | 매체 :베이비뉴스 | 보도일 :2015.05.27 |
1083 | [제주] 안덕면, 감산리 작은도서관 어린이체험 활동 전개 | 매체 :헤드라인 제주 | 보도일 :2015.05.26 |
1082 | [울산] 책 읽기는 불안한 마음 안정시키는 치료제 | 매체 :울산매일 | 보도일 :2015.05.26 |
1081 | [제주] 제주어로 만드는 '제주설화그림책' | 매체 :한라일보 | 보도일 :2015.05.26 |
1080 | [광주] 초여름 길목 ‘龍兒’에 물들다 - 용아문학제 소식 | 매체 :광주일보 | 보도일 :2015.05.26 |
1079 | [서울] 도봉구, '고맙습니다 구민회관 작은도서관' 조성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5.05.26 |
1078 | [경남] 거창군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선정 | 매체 :부산일보 | 보도일 :2015.05.25 |
1077 | [서울] [사설]주목되는 동네서점들의 연대와 자구 노력 | 매체 :경향신문 | 보도일 :2015.05.25 |
1076 | [충북] 충주시립도서관, 독서문화강좌 개최 | 매체 :동양일보 | 보도일 :201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