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기]“우리 아이 첫 책, 고양시가 지원합니다” 고양시도서관센터, 고양북스타트 책꾸러미 선물
매체명 : 한국강사신문
보도일 : 2020.05.22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5월 28일부터 고양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및 임신부를 대상으로 책과 함께 생애를 시작할 수 있도록 북스타트 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북스타트란 지방자치단체와 북스타트코리아가 영·유아를 대상으로 선물한 그림책을 통해 아이와 부모가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독서문화운동이다. 고양시는 2016년부터 책 꾸러미를 무료로 배부해왔으며 2020년에는 고양시립도서관 15개관과 공·사립 작은도서관 30개관 등 총 45개관이 참여한다. 책꾸러미 배부 대상은 수령시점을 기준으로 고양시에 거주하고 고양시도서관 회원으로 등록된 임신부 및 미취학아동으로 1~3세 영아, 4~5세 유아, 6~7세 유아로 나뉜다.
대상자는 고양시립도서관에서 회원증을 발급받고 홈페이지에서 신청 후,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에 신청한 도서관을 방문하면 책 꾸러미를 받을 수 있다. 미취학 아동은 고양시립도서관 또는 공·사립작은도서관 중에서, 임신부는 고양시립 화정·아람누리·가좌도서관 중에서 신청하면 수령 가능하다.
북스타트 꾸러미는 그림책 2권,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가이드북, 꾸러미가방으로 구성돼 소진 시까지 배부하며 엄마와 아기가 함께하는 후속 책모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하반기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복지관 내 공립작은도서관 및 일부 사립작은도서관은 휴관 종료 후인 6월부터 신청 가능하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고양시립도서관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가까운 도서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북스타트 운동은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북스타트 운동은 생후 약 8~9개월의 유아에게 무료로 책을 지급하는 운동으로, 1992년 자선 단체인 북트러스트(Book Trust)가 버밍햄공공도서관, 남부버밍햄보건국, 버밍햄대학 교육 대학원과 협력하여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이 책을 읽고 공부하는 데 주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책을 장난감 삼아 친숙하게 놀 수 있도록 경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구 결과 10년이 지난 후 북스타트 운동에 참여했던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언어 능력, 학업 성적, 이해력 등의 학습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 영국 전 지역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재정적인 문제로 몇 번의 위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각 지방 단체를 중심으로 각 지역 환경의 특성에 맞게 운영되고 있다. 북스타트 운동은 현재 미국, 일본, 호주, 한국 등 세계 곳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미숙 기자
대상자는 고양시립도서관에서 회원증을 발급받고 홈페이지에서 신청 후,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에 신청한 도서관을 방문하면 책 꾸러미를 받을 수 있다. 미취학 아동은 고양시립도서관 또는 공·사립작은도서관 중에서, 임신부는 고양시립 화정·아람누리·가좌도서관 중에서 신청하면 수령 가능하다.
북스타트 꾸러미는 그림책 2권,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가이드북, 꾸러미가방으로 구성돼 소진 시까지 배부하며 엄마와 아기가 함께하는 후속 책모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하반기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복지관 내 공립작은도서관 및 일부 사립작은도서관은 휴관 종료 후인 6월부터 신청 가능하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고양시립도서관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가까운 도서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북스타트 운동은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북스타트 운동은 생후 약 8~9개월의 유아에게 무료로 책을 지급하는 운동으로, 1992년 자선 단체인 북트러스트(Book Trust)가 버밍햄공공도서관, 남부버밍햄보건국, 버밍햄대학 교육 대학원과 협력하여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이 책을 읽고 공부하는 데 주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책을 장난감 삼아 친숙하게 놀 수 있도록 경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구 결과 10년이 지난 후 북스타트 운동에 참여했던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언어 능력, 학업 성적, 이해력 등의 학습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 영국 전 지역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재정적인 문제로 몇 번의 위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각 지방 단체를 중심으로 각 지역 환경의 특성에 맞게 운영되고 있다. 북스타트 운동은 현재 미국, 일본, 호주, 한국 등 세계 곳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미숙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679 | [전북] 고인돌 작은도서관 어린이 초청 행사 | 매체 :전북도민일보 | 보도일 :2014.12.24 |
678 | [제주] 15년도 작은도서관 조성사업, 봉개동, 동홍동 심사․선정 | 매체 :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4.12.24 |
677 | [서울] 주민들의 이야기듣는 박원순 시장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14.12.24 |
676 | [제주] 어린이도서연구회, 반딧불이작은도서관에 책 기증 | 매체 :시사제주 | 보도일 :2014.12.24 |
675 | [경남] 즐거운 도서관, 상상 그 이상으로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4.12.24 |
674 | [서울] 성동구, 우체통 재활용한 '도서나눔통' 설치 | 매체 :환경일보 | 보도일 :2014.12.24 |
673 | [경북] 포항시 두호동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운영위원회 합동회의 | 매체 :경상매일 | 보도일 :2014.12.23 |
672 | [전북] 전북혁신도시에 '작은 도서관' 생긴다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4.12.23 |
671 | [전북] 무주군, 주민과 함께하는 샘누리 작은 도서관 개관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14.12.23 |
670 | [부산] 건보공단 부산지역본부, 작은 도서관“건강보험Zone”개설 희망 센터 공모 | 매체 :아주경제 | 보도일 :201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