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서울 전통시장 정비사업 박차
매체명 : 건설경제신문
보도일 : 2020.04.28
서울의 전통시장이 다양한 방법으로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까지 남서울종합시장에 대한 시장정비사업 추진계획안 공람·공고가 실시된다.
지하철 3호선 대치역 인근에 위치한 남서울종합시장은 지난 2015년 주변 아파트와 상가가 재건축을 마쳤지만, 홀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다가 최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통시장으로 분류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을 따라 용적률 400%까지 적용받는다. 지하4층~지상14층 규모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부채납을 통해 작은도서관도 마련한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전통시장은 주로 도심 속 알짜 입지에 위치한다.
지하철 3호선 홍제역 인근에 위치한 인왕시장도 지난해 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며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2만6000㎡ 규모의 부지에 오는 2023년까지 새로운 상업 및 판매시설을 지을 계획이다.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는 공공이 뛰어들어 사업을 추진하는 곳도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영등포구 양남시장 정비사업을 조합과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 지난 2010년 시장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된 양남시장은 사업비 조달에 난항을 겪으면서 사업이 표류해왔다. 이번 결정으로 양남시장 부지엔 판매시설 외에도 임대주택 78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다만 전통시장 정비사업은 상인들에 대한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다. 인왕시장은 과거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기로 했지만, 관계자들 사이 의견을 모으지 못하면서 사업이 한 차례 무산된 바 있다. 지금도 일각에선 대체부지 마련과 보상 등에 대한 시장 상인들의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한편 주거지와 연계해 시장도 정비하고 도시재생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곳도 있다. 성동구 용답상가시장과 강서구 화곡중앙골목시장, 성북구 장위전통시장은 전통시장과 주거지를 함께 재생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유형을 도입하기로 했다. 인근 지역의 주거지를 재생하면서 복지시설과 도로 등 생활SOC를 함께 구축하는 방법이다.
/오진주 기자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까지 남서울종합시장에 대한 시장정비사업 추진계획안 공람·공고가 실시된다.
지하철 3호선 대치역 인근에 위치한 남서울종합시장은 지난 2015년 주변 아파트와 상가가 재건축을 마쳤지만, 홀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다가 최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통시장으로 분류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을 따라 용적률 400%까지 적용받는다. 지하4층~지상14층 규모의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부채납을 통해 작은도서관도 마련한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전통시장은 주로 도심 속 알짜 입지에 위치한다.
지하철 3호선 홍제역 인근에 위치한 인왕시장도 지난해 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며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2만6000㎡ 규모의 부지에 오는 2023년까지 새로운 상업 및 판매시설을 지을 계획이다.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는 공공이 뛰어들어 사업을 추진하는 곳도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영등포구 양남시장 정비사업을 조합과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 지난 2010년 시장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된 양남시장은 사업비 조달에 난항을 겪으면서 사업이 표류해왔다. 이번 결정으로 양남시장 부지엔 판매시설 외에도 임대주택 78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다만 전통시장 정비사업은 상인들에 대한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다. 인왕시장은 과거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기로 했지만, 관계자들 사이 의견을 모으지 못하면서 사업이 한 차례 무산된 바 있다. 지금도 일각에선 대체부지 마련과 보상 등에 대한 시장 상인들의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한편 주거지와 연계해 시장도 정비하고 도시재생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곳도 있다. 성동구 용답상가시장과 강서구 화곡중앙골목시장, 성북구 장위전통시장은 전통시장과 주거지를 함께 재생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유형을 도입하기로 했다. 인근 지역의 주거지를 재생하면서 복지시설과 도로 등 생활SOC를 함께 구축하는 방법이다.
/오진주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055 | [서울] 양천구, 물건·공간·생각까지 함께 나누는 공유 활성화 - 작은도서관도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5.05.18 |
1054 | [서울] 송파구 소나무언덕 잠실본동 작은도서관, 전통 체험 시간 가져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05.18 |
1053 | [경남]인문학 프로그램 참가해볼까-하동도서관 ‘책, 사람을 읽다’ 매월 작가 초청 강연회 | 매체 :경남매일 | 보도일 :2015.05.18 |
1052 | [경남] 진주 북 페스티벌 29일 개막 | 매체 :경남매일 | 보도일 :2015.05.18 |
1051 | [전국] 2015년 작은 도서관 운영자 역량강화 전국대회! | 매체 :업코리아 | 보도일 :2015.05.18 |
1050 | [경기] 광명시 사성 작은도서관 '잠자는 책' 교환 행사 | 매체 :아주경제 | 보도일 :2015.05.17 |
1049 | [인천]인천시, 도서 관계자 교과과정 이해 돕는다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05.17 |
1048 | [세종] 세종시, 주민들이 꾸미는 '작은도서관' - 한솔동도서관, 주민들이 기증한 363권 '작은도서관'에 기증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5.05.17 |
1047 | [광주] 도서관 인문학 '붐' | 매체 :광주mbc | 보도일 :2015.05.16 |
1046 | [충남]“하나의 씨앗속엔 생명이 담겨 있습니다”-홍성씨앗도서관 | 매체 :농촌여성신문 | 보도일 :201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