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다문화 도서관, 다양성의 중요함 품다
매체명 : 서울신문
보도일 : 2020.01.22
“엄마 나라의 말로 된 동화책을 선생님이 읽어 주셔서 참 좋아요.” 서울 성동구 왕십리도선동 트윈빌(성동구 왕십리로24나길 10) 2층에 자리한 ‘다문화 어린이 작은 책마루 이음’은 성동구가 직접 세운 서울 25개구 최초의 다문화 어린이 도서관이다. 전용면적 61.35㎡ 규모의 아담한 열람 공간에는 6개국 언어로 된 그림책 등 유아·어린이 도서가 총 2500여권 비치돼 있다. 2018년 말 기준 성동구의 다문화 인구(1만 3555명)는 전체 주민(30만 6796명)의 4.4%로 25개구에서 12번째 수준이지만 다문화 아이들이 지역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도서관과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다. 지역 내 다문화 가족 자녀는 모두 1084명이다. 성동구는 이 사업을 위해 1년여간 주민과 함께 개관을 준비했다. 몽골·베트남·일본·중국·필리핀 등 동네 이주 여성들이 주축이 돼 공간 디자인부터 도서 선정, 운영 방법까지 직접 계획했다. 도서관의 가장 큰 장점은 한국어 책도 있지만 엄마가 원어로 책을 읽어 줄 수 있도록 외국어로 된 책도 대거 가져다 놓은 것이다. 도서관에서는 이중언어 코치 선생님이 학습 지원도 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중국인과 몽골인 선생님이 직접 책을 읽어 주는 프로그램이 운영되면서 호응을 얻고 있다. 이달 들어 매일 평균 약 250명의 어린이와 부모들이 이용하는데 다문화뿐 아니라 조기 외국어 교육을 원하는 동네 아이들의 참여도 높다는 설명이다. 구에 거주하는 몽골 결혼이주여성 마르트(37)씨는 “다문화 가정에서는 아이가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것이 언어 문제”라면서 “지역에서 이중언어 아이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이런 프로그램을 마련해 준 게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고 말했다. 구는 국가별 자조 모임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자조 모임이란 먼저 한국에 온 이주민이 새로 한국에 온 이주민의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2016년 일본, 베트남 2개국을 시작으로 현재 일본, 베트남, 필리핀, 몽골, 중국까지 포함해 7개국 모임이 활동 중이다.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하는 모임, 엄마들이 모여 각국의 음식을 만드는 모임, 공동육아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구는 이외에 동네 일반 주민을 대상으로 이중언어의 중요성 및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문화 포럼’도 개최하고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다문화 가족에 대한 정책이 국가적으로 수립되기 시작한 지 12년이 지났다”면서 “지역 주민과 상생하는 정책으로 그들이 자생력을 갖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465 | [제주] 중앙꿈쟁이작은도서관 ‘시끌벅적 신나는 도서관축제’ | 매체 :미디어제주 | 보도일 :2017.08.02 |
2464 | [대전]유성구 작은도서관, 마을숲책발전소로 변신 | 매체 :디트뉴스24 | 보도일 :2017.08.02 |
2463 | [제주]노형꿈틀작은도서관-추자작은도서관, 독서캠프 운영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7.08.01 |
2462 | [강원]2017 춘천아트페스티벌 8월8일 개막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7.07.31 |
2461 | 한국도서관협회, 휴가철 맞아 가족과 함께하는 인문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17.07.31 |
2460 | [충북]청주 작은도서관 대상으로 ‘순회문고 북큐레이션’ 장기도서대출 사업 실시 | 매체 :KNS뉴스통신 | 보도일 :2017.07.31 |
2459 | [서울]종로구, 한옥도서관 등 특별한 도서관 늘어나는 까닭?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7.07.31 |
2458 | [제주]4차산업혁명 준비하는 융합 콘서트 열린다 | 매체 :제주투데이 | 보도일 :2017.07.31 |
2457 | [경기]화성시, 8월부터 사립 작은도서관 클라우드시스템 구축 | 매체 :중앙뉴스타임 | 보도일 :2017.07.30 |
2456 | [전국]다양화, 전문화 시대에 도서관이 특별해진다, 10개 특화도서관 지정, 통합 지원 | 매체 :도서관정책위원회 | 보도일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