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자체·교육청, 빈 공간 활용해 ‘돌봄 서비스’ 제공한다

매체명 : 뉴스핌 보도일 : 2019.06.25
링크주소
http://www.newspim.com/news/view/20190624000743
지역 내 유휴 공간과 학교 빈 교실을 활용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25일 ‘온종일 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사업’ 1차 년도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해당 사업은 초등학생 돌봄을 확대하기 위해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추진하는 정책에 따른 것이다. 정부가 지난해 4월 발표한 온종일 돌봄 정책의 목표는 서비스 수요자를 2017년 33만명 수준에서 2022년까지 53만명까지 확대하는 것이다. 이번 사업엔 지역 특성에 맞는 지자체 중심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6월에 공모로 선정된 서울 구로구·노원구·성동구·성북구, 대전 서구, 경기 시흥시·오산시, 충남 홍성군, 전남 광양시 등 9개 지자체가 참여했다. 사업 성과보고회는 중앙 부처, 광역‧기초 지자체, 시‧도교육(지원)청 등 국가 또는 지역 단위에서 초등학생 대상 돌봄을 추진하는 각 주체들이 함께 참여했고, 1차 년도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해 우수한 돌봄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 참여 지자체는 지자체 돌봄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돌봄기관 간 소통‧협력을 위한 지역돌봄협의체 구성‧운영 및 온종일 돌봄 조례 제정 등 지역의 돌봄 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자체-교육청(학교) 협력을 통해 돌봄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지역 여건과 특성에 맞는 돌봄 모델을 운영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특히 ‘사업 우수 모델’로 선정된 서울 노원구는 ‘노원구 돌봄 네트워크지원단’을 운영하며 아파트 내 유휴공간 등을 활용해 ‘우리동네 아이휴센터’를 설치하고 놀이 및 독서지도 등 실시하고 있다. 서울 성동구도 마찬가지로 아파트단지와 작은 도서관 등을 활용해 초등돌봄센터 ‘아이꿈누리터’ 설치‧운영하며 돌봄 공동체 확산을 위한 ‘이웃돌봄’ 운영 중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기초지자체를 중심으로 학교, 지역 내 돌봄기관이 함께 협력하여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반영한 돌봄 생태계가 구축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돌봄을 추진해 나가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 최대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경민 기자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3245 [경기]김포시, 시립도서관 전성시대 만든다...장기, 풍무, 마산, 운양 등 개관 '줄줄이' 매체 :CNB뉴스 보도일 :2018.09.27
    3244 [경기]오산시, 오는 11월부터 '초등생 온종일돌봄 조례' 시행 매체 :한국경제 보도일 :2018.09.27
    3243 [칼럼]소리없는 도서관의 '거대한 기여' 매체 :매일경제 보도일 :2018.09.27
    3242 [서울]관악구, 가을하늘 수놓는 '별 헤는 독서캠프' 개최 매체 :아시아타임즈 보도일 :2018.09.27
    3241 [유럽]진주혁신도시 공공도서관 어떻게 지을것인가(5) 매체 :경남일보 보도일 :2018.09.26
    3240 [경기]가평서 ‘평생교육 어울림 큰잔치’ 열린다 매체 :경기신문 보도일 :2018.09.26
    3239 [칼럼]내 정신의 영토에 쌓아올린 ‘못읽은 책’들의 왕국 매체 :한겨례 보도일 :2018.09.21
    3238 [통계]취준생·직장인 독서에 대한 관심도 감소…이유는? 매체 :뉴스투데이 보도일 :2018.09.21
    3237 [경기]시민과 함께한 2018년 파주북소리 축제 매체 :중부뉴스통신 보도일 :2018.09.20
    3236 [서울]옛집과 골목이 ‘책의 숲’ 안으로…마을이 된 도서관 매체 :중앙일보 보도일 :2018.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