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인천]원도심 ‘빈교실’ 재탄생… 병설유치원·작은도서관 ‘청사진’
매체명 : 경기일보
보도일 : 2019.01.29
원도심 ‘빈교실’ 재탄생… 병설유치원·작은도서관 ‘청사진’
인천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원도심 초·중·고교의 빈 교실 전수조사에 나선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설립기획과와 민주시민교육과를 중심으로 2월 중 초·중·고교 과소 학급 조사 테스크포스(TF)를 구성(2개 팀, 10~12명), 3월 신학기부터 지역 초·중·고교 430여 곳에 대한 빈 교실 전수조사에 돌입한다.
학급 조사TF는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늘어난 빈 교실 수를 파악,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시교육청은 2018년 과밀 학급 해소 전수조사 시 관심·주의·과다·심각 등 4개 단계로 조사했던 방식을 참고해 새로운 방식의 과소 학교 전수조사 계획을 수립한다.
오는 연말까지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빈 교실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구상이다.
빈 교실 활용대책으로는 최근 사립유치원비리 파동으로 교육부가 전국적으로 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는 방안에 발맞춰 병설유치원을 신설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또 작은 도서관, 노인복지시설, 체육시설 등 주민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는 등 학교를 중심으로 한 마을단위 공동체를 만드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빈 교실 파악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 각 부서의 의견을 수렴한 뒤 전문가 등이 포함된 빈 교실 활성화TF를 구성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 학령인구가 주는 원도심 학교의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했다”며 “신도시의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교육청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지난해 과밀 학급 해소를 위한 전수조사에서 과밀학급이 우려되는 지역 초등학교 37곳, 중학교 23곳, 고등학교 12곳 등 총 72곳은 제외됐다. 이들 과밀 우려 대상학교는 오는 2022년까지 319억 원을 투입해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계획이다.
/ 주영민 기자
인천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원도심 초·중·고교의 빈 교실 전수조사에 나선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설립기획과와 민주시민교육과를 중심으로 2월 중 초·중·고교 과소 학급 조사 테스크포스(TF)를 구성(2개 팀, 10~12명), 3월 신학기부터 지역 초·중·고교 430여 곳에 대한 빈 교실 전수조사에 돌입한다.
학급 조사TF는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늘어난 빈 교실 수를 파악,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시교육청은 2018년 과밀 학급 해소 전수조사 시 관심·주의·과다·심각 등 4개 단계로 조사했던 방식을 참고해 새로운 방식의 과소 학교 전수조사 계획을 수립한다.
오는 연말까지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빈 교실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구상이다.
빈 교실 활용대책으로는 최근 사립유치원비리 파동으로 교육부가 전국적으로 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는 방안에 발맞춰 병설유치원을 신설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또 작은 도서관, 노인복지시설, 체육시설 등 주민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는 등 학교를 중심으로 한 마을단위 공동체를 만드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빈 교실 파악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 각 부서의 의견을 수렴한 뒤 전문가 등이 포함된 빈 교실 활성화TF를 구성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 학령인구가 주는 원도심 학교의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했다”며 “신도시의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교육청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지난해 과밀 학급 해소를 위한 전수조사에서 과밀학급이 우려되는 지역 초등학교 37곳, 중학교 23곳, 고등학교 12곳 등 총 72곳은 제외됐다. 이들 과밀 우려 대상학교는 오는 2022년까지 319억 원을 투입해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계획이다.
/ 주영민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95 | [경남] 진주시, 작은도서관 종사자 교육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4.10.23 |
494 | [경남] 마음의 양식 쌓는 면사무소 북카페 | 매체 :경남신문 | 보도일 :2014.10.23 |
493 | [서울] 마포구 20개 도서관 단체 다 모인다...25일 마포동네책축제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4.10.23 |
492 | [광주] 송화마을 북 페스티벌 … 25일 광주 노대동 물빛공원 | 매체 :광주일보 | 보도일 :2014.10.23 |
491 | [제주] 새마을문고제주시지부 독서경진 시상식 | 매체 :한라일보 | 보도일 :2014.10.23 |
490 | [용인] 마을공동체 만들기 공론화 용인시의회 조례제정 토론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14.10.23 |
489 | [제주] 금능꿈차롱 '천연화장품 만들기' 행사 | 매체 :제민일보 | 보도일 :2014.10.22 |
488 | [경북] 영주 가흥2동 주민자치, 전국박람회서 '우수사례'로 선정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14.10.22 |
487 | [경기] 소통·참여로 함께 웃는 이웃사촌 | 매체 :경기일보 | 보도일 :2014.10.22 |
486 | [울산] 울주군, 도서관과 신설 등 조직개편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