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기]김포시 도서정책 일원화 갈길 바쁘다
매체명 : 인천일보
보도일 : 2018.12.10
김포시 도서정책 일원화 갈길 바쁘다
김포시가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시 도서정책의 일원화를 추진하려 했으나 아직 일부 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위탁운영돼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시에 따르면 1998년 김포시 최초 시립도서관인 중봉도서관(북변동)이 개관하면서 권역별 도서관건립 계획에 따라 지난 20년 간 지역 내 통진과 양촌, 고촌도서관 등 4개 도서관과 구래동 등 4개 지역에작은 도서관 등 모두 8곳의 시립도서관이 개관했다.
지난달 준공을 마치고 내년 1월 개관이 예정된 장기도서관까지 합하면 김포시립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을 합해 총 9곳에 이른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의 공공도서관 정책방향에 맞춰 지난 8월 도서정책 전문화와 다양화를 위해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평생학습센터 내 '도서관과'를 사업소로 분리해 공공도서정책 추진에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통진도서관은 시립도서관이면서도 사업소의 관리를 받지 않고 있어 시의 도서관 정책 연계와의 효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통진도서관은 위탁운영에 따라 직원 인사와 예산편성은 물론, 운영 프로그램까지 시설관리공단이 맡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달 8일 열린 시립도서관 운영위원회에서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운영과 공공성·공익성 강화를 위해 통진 도서관 직영 문제가 거론되기까지 했다.
통진도서관은 문화소외 지역인 월곶과 하성, 대곶, 통진 등 김포지역 북부권 주민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비 등 80억여 원을 들어 2009년 김포시의 두 번째 시립도서관으로 개관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에 따른 당시 정부의 작은 정부 지향방침에 따라 사서직 공무원 정원을 승인하지 않아 김포시설관리공단이 위탁을 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통진도서관이 정부의 사업비 지원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직영을 권고한 공공도서관에 해당 돼 더이상 직영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더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년 11월 공공도서관 위탁운영에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위탁운영 지자체에 사업비 국·도비 보조율 하향지원을 들어 공공도서관의 직영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등 사업예산 확보와 정책일원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위탁 공공도서관의 직영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늦었지만 이 같은 추세와 도서 정책 일원화, 관리 문제 등을 놓고 통진도서관의 직영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권용국기자 ykkwun@incheonilbo.com
김포시가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시 도서정책의 일원화를 추진하려 했으나 아직 일부 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위탁운영돼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시에 따르면 1998년 김포시 최초 시립도서관인 중봉도서관(북변동)이 개관하면서 권역별 도서관건립 계획에 따라 지난 20년 간 지역 내 통진과 양촌, 고촌도서관 등 4개 도서관과 구래동 등 4개 지역에작은 도서관 등 모두 8곳의 시립도서관이 개관했다.
지난달 준공을 마치고 내년 1월 개관이 예정된 장기도서관까지 합하면 김포시립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을 합해 총 9곳에 이른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의 공공도서관 정책방향에 맞춰 지난 8월 도서정책 전문화와 다양화를 위해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평생학습센터 내 '도서관과'를 사업소로 분리해 공공도서정책 추진에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통진도서관은 시립도서관이면서도 사업소의 관리를 받지 않고 있어 시의 도서관 정책 연계와의 효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통진도서관은 위탁운영에 따라 직원 인사와 예산편성은 물론, 운영 프로그램까지 시설관리공단이 맡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달 8일 열린 시립도서관 운영위원회에서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운영과 공공성·공익성 강화를 위해 통진 도서관 직영 문제가 거론되기까지 했다.
통진도서관은 문화소외 지역인 월곶과 하성, 대곶, 통진 등 김포지역 북부권 주민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비 등 80억여 원을 들어 2009년 김포시의 두 번째 시립도서관으로 개관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에 따른 당시 정부의 작은 정부 지향방침에 따라 사서직 공무원 정원을 승인하지 않아 김포시설관리공단이 위탁을 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통진도서관이 정부의 사업비 지원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직영을 권고한 공공도서관에 해당 돼 더이상 직영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더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년 11월 공공도서관 위탁운영에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위탁운영 지자체에 사업비 국·도비 보조율 하향지원을 들어 공공도서관의 직영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등 사업예산 확보와 정책일원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위탁 공공도서관의 직영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늦었지만 이 같은 추세와 도서 정책 일원화, 관리 문제 등을 놓고 통진도서관의 직영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권용국기자 ykkwun@incheonilbo.com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585 | [전북] 전주시,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즐기는 독서문화행사 마련 | 매체 :투에이안 | 보도일 :2016.05.11 |
1584 | [부산] '북 리펀드 운동' 개시, 안읽는 책 가져가면 도서교환권으로 환불 | 매체 :노컷뉴스 | 보도일 :2016.05.11 |
1583 | [서울] 송파구, 작은도서관 봉사자 위한 강좌 개설 | 매체 :뉴스천지 | 보도일 :2016.05.11 |
1582 |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에 생긴 작은 도서관 ‘퐁낭’ | 매체 :제주의 소리 | 보도일 :2016.05.10 |
1581 | [인천] 서구 검단도서관, 정보문화소외계층 서비스 확대 - 찾아가는 도서관 운영 | 매체 :경기도민일보 | 보도일 :2016.05.10 |
1580 | ['책 읽는 지자체'를 만나다'연재기사⑥ 경상북도 구미시]한책 하나구미 운동 10년째 | 매체 :내일신문 | 보도일 :2016.05.09 |
1579 | [서울] 은평구 작은도서관 선생님이 책 이야기를 들려줘요 | 매체 :여성종합뉴스 | 보도일 :2016.05.09 |
1578 | [전북] 고창 작은도서관, 11일부터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16.05.09 |
1577 | [광주] 양림역사문화작은도서관, '문화창작소'로 변신 | 매체 :노컷뉴스 | 보도일 :2016.05.09 |
1576 | [제주] 금능꿈차롱 작은도서관, 수강생 작품집 출간 | 매체 :제주의 소리 | 보도일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