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칼럼]양평 작은 학교의 사서 선생님
매체명 : 경향신문
보도일 : 2018.12.04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양평 작은 학교의 사서 선생님
옛날 한강의 강줄기는 모두 뱃길이었다. 1960년대 말까지 강원도에서 벤 나무들은 남한강과 북한강의 물길을 따라 한강에 모여 서울까지 내려왔다. 가을부터 겨울까지 베어낸 단단한 나무는 강 얼음이 풀린 봄에 뗏목에 실려 옮겨졌다. 이 뗏목을 타는 이를 뗏사공이라고 했다. 아마도 뗏사공들은 목숨을 걸고 아우라지의 험한 물길을 헤쳐나와 충주의 여울을 지나 양평에 이르러서야 한숨 돌렸을 것이다.
양평의 강물은 짙은 초록빛이었다. 그 강가 언저리에 초등학교가 있다. 전교생이 90여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학교의 도서관은 꽤 컸다. 깔끔하게 정리된 도서관 한쪽 바닥에는 두툼한 놀이방 매트가 깔려 있었다. 한 아이가 그 매트에 배를 깔고 누워 있었다. 아이는 그림책을 여러 권 쌓아놓고 발장난을 치면서 책을 보다가 수업이 시작되었다는 사서 선생님 말씀에 느릿느릿 일어났다.
“아이들이 도서관에 와서 잘 놀아요. 우리 학교는 쉬는 시간이 40분이거든요. 쉬는 시간이 길어서 뛰어놀다가도 여기 와서 책을 보곤 해요.”
사서 선생님은 책을 펼쳐놓고 가는 아이한테 책을 꽂아라 마라 하지 않았다. 아마도 아이가 쉬는 시간에 또 와서 책을 볼 수 있도록 놓아두는 모양이었다. 아이들은 선생님들의 얼굴을 닮는다. 선생님들의 표정이 환하면 아이들도 밝다. 강가에 있는 학교 아이들은 연신 생글생글 웃으면서 말하는 이와 눈을 맞춰줬다. 그들 뒤에는 그런 아이들을 뿌듯하게 바라보며 고개를 끄덕이는 선생님들이 계셨다.
강가 작은 학교에서 책 이야기를 마치고 오는 길에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며 뗏사공이 있던 시절을 생각했다. 그 시절 높은 산에서 벤 나무를 옮길 때 나무에 군두쇠라는 고리를 박아 줄을 매어서 옮기기도 했는데, 그러면 나무가 깨지기 쉬웠다고 한다. 그러니 나무를 옮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골짜기에 고랑을 파서 나무가 떠내려가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아이를 교육하는 것도 나무를 옮기는 것과 같은 게 아닐까. 어른들이 할 일은 군두쇠를 박는 게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헤쳐나갈 길을 내어주는 것이리라.
/ 김해원 동화작가
옛날 한강의 강줄기는 모두 뱃길이었다. 1960년대 말까지 강원도에서 벤 나무들은 남한강과 북한강의 물길을 따라 한강에 모여 서울까지 내려왔다. 가을부터 겨울까지 베어낸 단단한 나무는 강 얼음이 풀린 봄에 뗏목에 실려 옮겨졌다. 이 뗏목을 타는 이를 뗏사공이라고 했다. 아마도 뗏사공들은 목숨을 걸고 아우라지의 험한 물길을 헤쳐나와 충주의 여울을 지나 양평에 이르러서야 한숨 돌렸을 것이다.
양평의 강물은 짙은 초록빛이었다. 그 강가 언저리에 초등학교가 있다. 전교생이 90여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학교의 도서관은 꽤 컸다. 깔끔하게 정리된 도서관 한쪽 바닥에는 두툼한 놀이방 매트가 깔려 있었다. 한 아이가 그 매트에 배를 깔고 누워 있었다. 아이는 그림책을 여러 권 쌓아놓고 발장난을 치면서 책을 보다가 수업이 시작되었다는 사서 선생님 말씀에 느릿느릿 일어났다.
“아이들이 도서관에 와서 잘 놀아요. 우리 학교는 쉬는 시간이 40분이거든요. 쉬는 시간이 길어서 뛰어놀다가도 여기 와서 책을 보곤 해요.”
사서 선생님은 책을 펼쳐놓고 가는 아이한테 책을 꽂아라 마라 하지 않았다. 아마도 아이가 쉬는 시간에 또 와서 책을 볼 수 있도록 놓아두는 모양이었다. 아이들은 선생님들의 얼굴을 닮는다. 선생님들의 표정이 환하면 아이들도 밝다. 강가에 있는 학교 아이들은 연신 생글생글 웃으면서 말하는 이와 눈을 맞춰줬다. 그들 뒤에는 그런 아이들을 뿌듯하게 바라보며 고개를 끄덕이는 선생님들이 계셨다.
강가 작은 학교에서 책 이야기를 마치고 오는 길에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며 뗏사공이 있던 시절을 생각했다. 그 시절 높은 산에서 벤 나무를 옮길 때 나무에 군두쇠라는 고리를 박아 줄을 매어서 옮기기도 했는데, 그러면 나무가 깨지기 쉬웠다고 한다. 그러니 나무를 옮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골짜기에 고랑을 파서 나무가 떠내려가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아이를 교육하는 것도 나무를 옮기는 것과 같은 게 아닐까. 어른들이 할 일은 군두쇠를 박는 게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헤쳐나갈 길을 내어주는 것이리라.
/ 김해원 동화작가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6687 | [서울] “소리 내고 돌아다니며 책 봐도 괜찮네!” | 매체 :서울앤 | 보도일 :2023.03.23 |
6686 | [전북] 전주혁신도시 어린이·청소년 문화공간 '복합문화센터' 개장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23.03.23 |
6685 | [전북] 평화빛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전북도민일보 | 보도일 :2023.03.22 |
6684 | [울산] 울산 남구, 선암동 대나리 생활문화센터 개관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23.03.22 |
6683 | [전북] 진안군 세모네모작은도서관과 함께 떠나는 재미있는 책 여행 | 매체 :전라일보 | 보도일 :2023.03.22 |
6682 | [울산] 울산 꽃바위작은도서관, 문화가 있는 날 시행 공모 선정 | 매체 :울산신문 | 보도일 :2023.03.21 |
6681 | [전북] 전주시 '생애 첫 도서관 이야기' 자원활동가 기본교육 실시 | 매체 :전라일보 | 보도일 :2023.03.21 |
6680 | [제주] 제주 퐁낭작은도서관, 25일 동화 ‘졌잘싸’ 고상훈 작가 낭독회 | 매체 :제주의소리 | 보도일 :2023.03.21 |
6679 | [경기] 고양특례시, ‘2023 대한민국 책의 도시’ 선포 | 매체 :파이낸셜뉴스 | 보도일 :2023.03.21 |
6678 | [경북] 경주 우리작은도서관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교육지원사업'에 2년째 선정돼 | 매체 :경북도민일보 | 보도일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