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100년 역사 대구중앙도서관 활용방안 놓고 티격태격

매체명 : 경향신문 보도일 : 2018.11.15
링크주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1151552001&code=620103
100년 역사 대구중앙도서관 활용방안 놓고 티격태격

대구시와 시의회가 100년 역사를 지닌 대구시립중앙도서관의 활용 방안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대구시는 중구 국채보상기념공원 내에 들어선 대구중앙도서관을‘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아카이브관’으로 전환키로 하고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시는 중앙도서관(연면적 1만180㎡, 지하 1층·지상 4층)을 20121년부터 리모델링해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와 사진, 기념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국채보상운동에 담긴 국난 극복과 나눔 정신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아카이브관을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에 진 나랏빚을 갚기 위해 1907년 대구에서 처음으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됐다.

시는 중앙도서관을 아카이브관으로 조성하면서 일부 장서 등은 오는 2013년 남구 캠프워크 헬기장 반환부지에 개관할 대구 대표도서관으로 옮길 예정이다.

대구시는 미군으로부터 이전받을 캠프워크헬기장 부지에 2019년 대표도서관 착공에 들어가 2021년 7월쯤에 완공할 예정이다. 대구 대표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연면적 1만4000여㎡)로 건립된다.

하지만 대구시의회는 “아카이브관 조성이 여론수렴 없이 행정편의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전경원 시의원(자유한국당)은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구중앙도서관은 연간 이용객이 167만명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 되고 있다”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보관소를 굳이 중앙도서관에 설립할 필요가 있느나”며 재고를 촉구했다.

이진련 시의원(더불어민주당)도 “아카이브관 입지에 대해서는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면서 대구시의 일방적인 추진에 이의를 제기했다.

김동현 대구시평생교육팀장은 “올 연말쯤 용역이 끝나면 별도로 중앙도서관 이전에 따른 여론을 수렴 할 것”이라면서 “아카이브관에도 도서관 기능을 일부 남겨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중앙도서관은 대구시가 대구시교육청에 위탁운영하고 있다. 대구시가 부지와 건물 소유권을 갖고 시교육청이 인사, 프로그램 등 운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장해광 대구중앙도서관장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이 즐겨찾는 도서관 공간을 굳이 아카이브관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지 의문이 든다”면서 “시민 서비스 차원에서도 도서관은 본래의 기능을 살려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박태우 기자 taewoo@kyunghyang.com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1105 [울산] 울산 남구, 삼호동에 생활친화형 작은도서관 조성 매체 :헤럴드경제 보도일 :2015.06.03
    1104 [경기] 안양시 '고맙습니다 작은도서관 협약' 체결 매체 :아주경제 보도일 :2015.06.03
    1103 [충북] 충주시립도서관, 아이와 부모가 함께 책으로 교감 매체 :중부매일 보도일 :2015.06.01
    1102 [서울] 종로구, 22일까지 가족문화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매체 :헤럴드경제 보도일 :2015.06.01
    1101 [전북] 임실군, 문화가 있는 날 ‘올빼미도서관’운영 매체 :국제뉴스 보도일 :2015.05.31
    1100 [충북] 자연에서 힐링하며 지성 차곡차곡 - 장령산자연휴양림 순회문고 매체 :충청일보 보도일 :2015.05.31
    1099 [전국] 작은도서관 확산에 동참하세요 매체 :한국일보 보도일 :2015.05.31
    1098 [전국] 동네도서관 들어서니… 마을이 재잘재잘 공동체도 살아나 매체 :한국일보 보도일 :2015.05.31
    1097 [전국] "편안한 도서관 설계부터 프로그램 지원·강연까지 백발되도록 독서문화 전파" 매체 :한국일보 보도일 :2015.05.31
    1096 [서울] 노숙인·쪽방촌 주민 위한 '작은 도서관' 매체 :조선일보 보도일 :201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