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대구]100년 역사 대구중앙도서관 활용방안 놓고 티격태격
매체명 : 경향신문
보도일 : 2018.11.15
100년 역사 대구중앙도서관 활용방안 놓고 티격태격
대구시와 시의회가 100년 역사를 지닌 대구시립중앙도서관의 활용 방안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대구시는 중구 국채보상기념공원 내에 들어선 대구중앙도서관을‘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아카이브관’으로 전환키로 하고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시는 중앙도서관(연면적 1만180㎡, 지하 1층·지상 4층)을 20121년부터 리모델링해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와 사진, 기념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국채보상운동에 담긴 국난 극복과 나눔 정신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아카이브관을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에 진 나랏빚을 갚기 위해 1907년 대구에서 처음으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됐다.
시는 중앙도서관을 아카이브관으로 조성하면서 일부 장서 등은 오는 2013년 남구 캠프워크 헬기장 반환부지에 개관할 대구 대표도서관으로 옮길 예정이다.
대구시는 미군으로부터 이전받을 캠프워크헬기장 부지에 2019년 대표도서관 착공에 들어가 2021년 7월쯤에 완공할 예정이다. 대구 대표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연면적 1만4000여㎡)로 건립된다.
하지만 대구시의회는 “아카이브관 조성이 여론수렴 없이 행정편의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전경원 시의원(자유한국당)은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구중앙도서관은 연간 이용객이 167만명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 되고 있다”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보관소를 굳이 중앙도서관에 설립할 필요가 있느나”며 재고를 촉구했다.
이진련 시의원(더불어민주당)도 “아카이브관 입지에 대해서는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면서 대구시의 일방적인 추진에 이의를 제기했다.
김동현 대구시평생교육팀장은 “올 연말쯤 용역이 끝나면 별도로 중앙도서관 이전에 따른 여론을 수렴 할 것”이라면서 “아카이브관에도 도서관 기능을 일부 남겨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중앙도서관은 대구시가 대구시교육청에 위탁운영하고 있다. 대구시가 부지와 건물 소유권을 갖고 시교육청이 인사, 프로그램 등 운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장해광 대구중앙도서관장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이 즐겨찾는 도서관 공간을 굳이 아카이브관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지 의문이 든다”면서 “시민 서비스 차원에서도 도서관은 본래의 기능을 살려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박태우 기자 taewoo@kyunghyang.com
대구시와 시의회가 100년 역사를 지닌 대구시립중앙도서관의 활용 방안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대구시는 중구 국채보상기념공원 내에 들어선 대구중앙도서관을‘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아카이브관’으로 전환키로 하고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시는 중앙도서관(연면적 1만180㎡, 지하 1층·지상 4층)을 20121년부터 리모델링해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와 사진, 기념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국채보상운동에 담긴 국난 극복과 나눔 정신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아카이브관을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에 진 나랏빚을 갚기 위해 1907년 대구에서 처음으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됐다.
시는 중앙도서관을 아카이브관으로 조성하면서 일부 장서 등은 오는 2013년 남구 캠프워크 헬기장 반환부지에 개관할 대구 대표도서관으로 옮길 예정이다.
대구시는 미군으로부터 이전받을 캠프워크헬기장 부지에 2019년 대표도서관 착공에 들어가 2021년 7월쯤에 완공할 예정이다. 대구 대표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연면적 1만4000여㎡)로 건립된다.
하지만 대구시의회는 “아카이브관 조성이 여론수렴 없이 행정편의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전경원 시의원(자유한국당)은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구중앙도서관은 연간 이용객이 167만명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 되고 있다”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보관소를 굳이 중앙도서관에 설립할 필요가 있느나”며 재고를 촉구했다.
이진련 시의원(더불어민주당)도 “아카이브관 입지에 대해서는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면서 대구시의 일방적인 추진에 이의를 제기했다.
김동현 대구시평생교육팀장은 “올 연말쯤 용역이 끝나면 별도로 중앙도서관 이전에 따른 여론을 수렴 할 것”이라면서 “아카이브관에도 도서관 기능을 일부 남겨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중앙도서관은 대구시가 대구시교육청에 위탁운영하고 있다. 대구시가 부지와 건물 소유권을 갖고 시교육청이 인사, 프로그램 등 운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장해광 대구중앙도서관장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이 즐겨찾는 도서관 공간을 굳이 아카이브관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지 의문이 든다”면서 “시민 서비스 차원에서도 도서관은 본래의 기능을 살려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박태우 기자 taewoo@kyunghyang.com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535 | [서울] 관악구, 다양한 숲속체험활동 프로그램 운영 -관악산 숲속 작은도서관 | 매체 :한강타임즈 | 보도일 :2016.04.05 |
1534 | [서울] [강동구] 집에서 10분 걸으면 책 읽을 수 있도록 전 동에 작은도서관 조성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6.04.05 |
1533 | [대구] '작은 도서관' 재미나게 가꿔 동네 사랑방으로 | 매체 :매일신문 | 보도일 :2016.04.04 |
1532 | [경기] 작은도서관, 마을공동체 거점으로 육성 - 지원사업설명회 현장 보고 | 매체 :경기도 포털뉴스 | 보도일 :2016.04.04 |
1531 | [전국] 문체부, 지역서점 활성화 위해 400여회 문화행사 개최 | 매체 :독서신문i | 보도일 :2016.04.04 |
1530 | [경기] 경기도, 매년 '책 축제' 개최 - 작은도서관 축제도 통합 | 매체 :파이낸셜뉴스 | 보도일 :2016.04.04 |
1529 | [경기] 경기도, 마을공동체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설명회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16.04.03 |
1528 | [제주] 재밌는 그림책 작은도서관에서 본다 | 매체 :제민일보 | 보도일 :2016.04.03 |
1527 | [전국] 마을공동체의 부활 | 매체 :세계일보 | 보도일 :2016.04.02 |
1526 | [전북] 침체된 작은도서관 “이제는 문화 사랑방으로” | 매체 :전북도민일보 | 보도일 :2016.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