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통계]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매체명 : 연합뉴스
보도일 : 2018.10.31
- 링크주소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31/0200000000AKR20181031075400004.HTML?input=1179m
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460 | [충북]청주 작은도서관 대상으로 ‘순회문고 북큐레이션’ 장기도서대출 사업 실시 | 매체 :KNS뉴스통신 | 보도일 :2017.07.31 |
2459 | [서울]종로구, 한옥도서관 등 특별한 도서관 늘어나는 까닭?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7.07.31 |
2458 | [제주]4차산업혁명 준비하는 융합 콘서트 열린다 | 매체 :제주투데이 | 보도일 :2017.07.31 |
2457 | [경기]화성시, 8월부터 사립 작은도서관 클라우드시스템 구축 | 매체 :중앙뉴스타임 | 보도일 :2017.07.30 |
2456 | [전국]다양화, 전문화 시대에 도서관이 특별해진다, 10개 특화도서관 지정, 통합 지원 | 매체 :도서관정책위원회 | 보도일 :2017.07.28 |
2455 | [전국]뜨거운 무더위, 공공도서관으로 떠나는 가족여행으로 풀어보자 | 매체 :뉴스페이퍼 | 보도일 :2017.07.27 |
2454 | [경기]수원문화재단, ‘도서관에서 1박2일’ 최고 인기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7.07.27 |
2453 | [경기]의왕시 카페와 작은도서관이 평생학습공간으로 바뀐다 | 매체 :피디언 | 보도일 :2017.07.26 |
2452 | [경남] 작은도서관 특성화 세미나 개최 “이용자 성격 제대로 파악하고 공간 구성 개선해야”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7.07.26 |
2451 | [전북]군산시 작은도서관 '8월 해피해피 영화상영' | 매체 :피디언 | 보도일 :2017.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