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통계]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매체명 : 연합뉴스
보도일 : 2018.10.31
- 링크주소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31/0200000000AKR20181031075400004.HTML?input=1179m
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610 | [경남] 엄마·자녀 함께 읽을 ‘큰책’ 만드는 ‘선수들’ 장유 팔판작은도서관 '책봉이'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7.10.10 |
2609 | [인천] 부평2동 22통 주민, 희망천 작은 도서관에 도서기증 | 매체 :여성종합뉴스 | 보도일 :2017.10.10 |
2608 | [경기]화성시 작은도서관 100곳 온라인 통합 시스템 개장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17.10.10 |
2607 | [서울]용산구, 관내 26개 도서관과 ‘책축제’... 저자와 만남, 도서교환전 등 | 매체 :한강타임즈 | 보도일 :2017.10.10 |
2606 | [충북]천안시, 2017 작은 도서관 ‘하반기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 매체 :충북일보 | 보도일 :2017.10.10 |
2605 | [경기]용인 아르피아체육공원서 14일 '뛰노는 도서관 축제'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7.10.10 |
2604 | [인천]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남동구립도서관 | 매체 :세계타임즈 | 보도일 :2017.10.08 |
2603 | [부산]교육격차 해소 위한 '새로운 도전'… 학교와 마을 손잡다 | 매체 :부산일보 | 보도일 :2017.10.08 |
2602 | [전북]“한글을 배워 행복하다”…무주 안성 작은 도서관 한글 교실 인기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17.10.08 |
2601 | [서울] [서소문 사진관] 어린이 도서관으로 변신한 폐차 버스 | 매체 :중앙일보 | 보도일 :2017.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