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통계]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매체명 : 연합뉴스
보도일 : 2018.10.31
- 링크주소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31/0200000000AKR20181031075400004.HTML?input=1179m
고교생 7명 중 1명, 3년 동안 책 한 권도 안 본다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한국 고교생들은 한 달 평균 약 1.8권의 책을 읽지만 7명 가운데 1명은 재학 중에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은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남 5천583명·여 4천9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1차연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1.81권이었다. 가장 적게는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부터, 많게는 65권을 읽은 학생까지 독서량 차이가 컸다. 교과서·참고서·만화책·무협지·잡지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들만 대상으로 하면 한 달 평균 독서량은 2.23권이었다.
재학 중 책을 읽은 적이 있는 학생은 84.5%, 그렇지 않은 학생은 15.5%였다. 고교생 7명 가운데 1명꼴로 3년 동안 교과서·만화책·잡지 외의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독서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성적 등급을 바탕으로 분석)를 점수로 환산하면 5.64점으로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4.75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넘게 책을 읽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5.57점) 또한 한 권 이하로 읽는 학생들(5.46점)보다 높았다.
독서하는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다문화 수용성 등도 높게 나타났다.
고교생의 독서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변수를 분석했더니 중학교 3학년 성적,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는 주중에 혼자 공부하는 시간, 국어 선호 정도, 국어 과목에 재미를 느끼는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학교 도서관 확충,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등 기존 정책으로 시도된 다양한 변수가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정·학교·사회에서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주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 고유선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120 | [부산]부산 122개 도서관을 하나로…통합 웹서비스 플랫폼 구축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8.08.02 |
3119 | [대구]달서구 사립 작은도서관 보조금 지원... "상생의 길 실천"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8.08.01 |
3118 | [전국]캠코, 시각장애인 위한 오디오북 제작 참가자 70명 모집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8.08.01 |
3117 | [경기]수원-의정부-성남-파주서 '작은도서관' 운영 노하우 교육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18.08.01 |
3116 | [전국]"더우면 어때" 산·바다 만큼 공연장·미술관·도서관 인기 | 매체 :머니투데이 | 보도일 :2018.07.31 |
3115 | [전북]더위 탈출, 문화체험④작은 도서관 - 시원한 도서관에서 마음껏 뛰놀자! | 매체 :전북일보 | 보도일 :2018.07.30 |
3114 | [전북]전주시, ‘책과 사람, 삶을 만나는 작은도서관 스탬프 투어’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8.07.30 |
3113 | [경북]도서관의 변신_대학도서관의 진화 | 매체 :매일신문 | 보도일 :2018.07.28 |
3112 | [광주]광주시, '즐겨찾기 도서관' 독서진흥 방안 마련 | 매체 :전남일보 | 보도일 :2018.07.26 |
3111 | [경기]장애인·임산부 집에서 만나는 도서관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1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