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충북]충북 도서관 “실종된 양심이 모두 돌아왔어요”
매체명 : 서울신문
보도일 : 2018.10.10
충북 도서관 “실종된 양심이 모두 돌아왔어요”
- 지미순 주무관 방문·문자 활약에 미반납 대출도서 100% 회수 성과
‘끝까지 간다.’
한 직원의 끈질긴 노력으로 대출도서 회수율이 100%를 기록 중인 도서관이 있어 눈길을 끈다. 충북도 중앙도서관은 지난달 현재 미반납된 대출도서가 한 권도 없다고 10일 밝혔다. 빌려간 책을 제때 반납하지 않는 ‘실종된 양심’ 때문에 속을 썩이는 상당수 도서관과 대조적이다.
이런 성과는 도서관 자료실에 근무하는 지미순(57) 주무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 주무관이 도서관 근무를 시작한 것은 2016년 9월이다. 발령을 받고 와 보니 대출기간 3주가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아 골칫덩어리가 된 책이 540여권에 달했다. 이 가운데 빌려간 지 1년이 넘은 책도 30여권이나 됐다. 대출자들에게 전화해보니 중국에 있거나 군 복무 중인 황당한 경우도 있었다. 전화를 받지 않는 대출자도 적지 않았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지 주무관은 이때부터 자기만의 방식을 추가해 책 회수에 나섰다. 우선 미반납 다음날부터 문자메시지를 통해 3일 간격으로 연체도서 반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시스템으로 독촉을 시도했다. 책을 갖고 오지 않으면 전화를 걸어 협조를 구했다. 짜증 내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도서관을 이용하는 다른 사람들을 생각해 달라고 설득했다.
그래도 책을 가져오지 않거나 일부러 전화를 받지 않는 등 연락이 안 되는 ‘악질 대출자’들은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뒤 주소를 파악해 집으로 찾아갔다. 한 달에 두 번인 도서관 휴관일을 활용했다. 집에 사람이 없으면 ‘안녕하세요. 충북 중앙도서관입니다. 미반납된 도서가 있어 방문했습니다’는 문구와 방문 시간이 적힌 독촉장을 붙이고 돌아왔다. 독촉장 효과는 뛰어났다. 남의 시선을 의식한 듯 반납을 미루던 대출자들이 책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도서관 방문이 어려운 대출자들은 우편으로 책을 보내게 안내했다.
지 주무관은 “거실에 불이 켜 있는데도 문을 열어주지 않아 수차례 전화를 걸고 집으로 찾아가 책을 받은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나 하나쯤’이라는 안일한 생각 때문에 반납을 안 하고 있다”며 “도서관 책은 공동의 재산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 지미순 주무관 방문·문자 활약에 미반납 대출도서 100% 회수 성과
‘끝까지 간다.’
한 직원의 끈질긴 노력으로 대출도서 회수율이 100%를 기록 중인 도서관이 있어 눈길을 끈다. 충북도 중앙도서관은 지난달 현재 미반납된 대출도서가 한 권도 없다고 10일 밝혔다. 빌려간 책을 제때 반납하지 않는 ‘실종된 양심’ 때문에 속을 썩이는 상당수 도서관과 대조적이다.
이런 성과는 도서관 자료실에 근무하는 지미순(57) 주무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 주무관이 도서관 근무를 시작한 것은 2016년 9월이다. 발령을 받고 와 보니 대출기간 3주가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아 골칫덩어리가 된 책이 540여권에 달했다. 이 가운데 빌려간 지 1년이 넘은 책도 30여권이나 됐다. 대출자들에게 전화해보니 중국에 있거나 군 복무 중인 황당한 경우도 있었다. 전화를 받지 않는 대출자도 적지 않았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지 주무관은 이때부터 자기만의 방식을 추가해 책 회수에 나섰다. 우선 미반납 다음날부터 문자메시지를 통해 3일 간격으로 연체도서 반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시스템으로 독촉을 시도했다. 책을 갖고 오지 않으면 전화를 걸어 협조를 구했다. 짜증 내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도서관을 이용하는 다른 사람들을 생각해 달라고 설득했다.
그래도 책을 가져오지 않거나 일부러 전화를 받지 않는 등 연락이 안 되는 ‘악질 대출자’들은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뒤 주소를 파악해 집으로 찾아갔다. 한 달에 두 번인 도서관 휴관일을 활용했다. 집에 사람이 없으면 ‘안녕하세요. 충북 중앙도서관입니다. 미반납된 도서가 있어 방문했습니다’는 문구와 방문 시간이 적힌 독촉장을 붙이고 돌아왔다. 독촉장 효과는 뛰어났다. 남의 시선을 의식한 듯 반납을 미루던 대출자들이 책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도서관 방문이 어려운 대출자들은 우편으로 책을 보내게 안내했다.
지 주무관은 “거실에 불이 켜 있는데도 문을 열어주지 않아 수차례 전화를 걸고 집으로 찾아가 책을 받은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나 하나쯤’이라는 안일한 생각 때문에 반납을 안 하고 있다”며 “도서관 책은 공동의 재산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255 | [서울] 서대문구 작은도서관, 독자와의 대화 ‘사람책도서관’ 개최 | 매체 :한강타임즈 | 보도일 :2015.08.17 |
1254 | [인천] 인천시 강화군새마을회, 작은 도서관 개관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08.17 |
1253 | [전북] 정읍시, 수성동에 다문화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광주일보 | 보도일 :2015.08.17 |
1252 | [서울] 종로구, 책 읽는 마을 키우기 사업 추진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5.08.17 |
1251 | [강원] 삼척, 행복학습센터 5개소 내달부터 운영 - 남양작은도서관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15.08.16 |
1250 | [서울] 서초구, '내 고장 역사탐방' 교실 운영 - 방배1동 작은도서관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5.08.16 |
1249 | [전국] ‘작은도서관’이 준 큰 재미 | 매체 :중앙일보 | 보도일 :2015.08.13 |
1248 | [경기] ‘책 읽는 군포’ 인구대비 도서관 이용자 1위 | 매체 :경기일보 | 보도일 :2015.08.11 |
1247 | [충북] 충주시립도서관, 8월 독서문화강좌 개최 - 사과나무 작은도서관 백창화 북아트 | 매체 :충북일보 | 보도일 :2015.08.11 |
1246 | [경남] 영호남 연극제 8월 18~23일 진주서 열려 - 작은도서관 여러곳에서 무료 작은극장 | 매체 :뉴스웨이 | 보도일 :201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