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칼럼]책 '듣는' 시대
매체명 : 부산일보
보도일 : 2018.08.05
[밀물썰물] 책 '듣는' 시대
직업 탓일까, 나이 때문일까? 책 읽기만큼은 '귀로 듣는' 것보다 눈으로 보는 활자가 익숙하다. 한 권의 책을 오래오래 곱씹기보다는 '필요'에 의한 책 읽기를 속독으로 할 때가 많다. 책 읽는 방법만 하더라도 소리를 내지 않고 속으로 글을 읽는 '묵독'이 전부인 줄 알았다. 어느 게 낫다 못하다를 떠나서 독서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걸 새삼 깨닫는 요즘이다.
얼마 전 한 모임에서 자신이 감명 깊게 읽은 책이나 읽고 있는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 있었다. 전공과 직업이 다른 만큼 각자 가져온 책도 다양했다. 책 제목을 메모하고, 스마트폰으로 책 표지를 찍고, 각자 발언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기도 했다. 인기 절정이라는 팟캐스트 '이동진의 빨간책방'의 오프라인 버전쯤 되려나, 누군가의 책 읽기가 또 다른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책 정보 전달에 집중하는 팟캐스트와 달리 책을 음성으로 바꾼 '듣는' 책 오디오북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달 30일 오디오 전용 플랫폼 '오디오클립'에서 유료 오디오북 판매를 시작했다. <82년생 김지영> 등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 30권을 발행해 첫날 630여 권이 팔렸다. 듣는 재미를 가미해 성우나 연극배우 외에 저자가 낭독자로 참여하거나 아이돌까지 나섰다. 어릴 적 매일 밤 동화책을 읽어주던 부모가 갑자기 확 늘어난 느낌이랄까, 과거 오디오북이 시각장애인용 콘텐츠라는 인식이 많았던 데 비해서도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구글도 올 1월 구글 플레이에 한국어까지 포함한 9개국 언어로 된 오디오북을 처음 출시했고, 국내 최대 팟캐스트 플랫폼 업체 '팟빵'은 올 4월 오디오북 사업 진출을 위해서 대한출판문화협회에 이름을 올려 화제가 됐다. 이용자 입장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오디오북의 장점이 다른 일과 병행하면서 들을 수 있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오디오북에만 집중한다"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미국 설문조사 결과도 있다.
누군가의 말처럼 인쇄된 것만이 책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할지도 모르겠다. 활자 중독 세대에겐 이런 변화가 낯설지만 웹툰을 좋아하고, 유튜브를 끼고 사는 디지털 콘텐츠 세대는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실상은 책 읽는 방식이 문제가 아니라 왜 책을 읽는지가 더 중요하겠지만 말이다.
/ 김은영 논설위원
직업 탓일까, 나이 때문일까? 책 읽기만큼은 '귀로 듣는' 것보다 눈으로 보는 활자가 익숙하다. 한 권의 책을 오래오래 곱씹기보다는 '필요'에 의한 책 읽기를 속독으로 할 때가 많다. 책 읽는 방법만 하더라도 소리를 내지 않고 속으로 글을 읽는 '묵독'이 전부인 줄 알았다. 어느 게 낫다 못하다를 떠나서 독서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걸 새삼 깨닫는 요즘이다.
얼마 전 한 모임에서 자신이 감명 깊게 읽은 책이나 읽고 있는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 있었다. 전공과 직업이 다른 만큼 각자 가져온 책도 다양했다. 책 제목을 메모하고, 스마트폰으로 책 표지를 찍고, 각자 발언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기도 했다. 인기 절정이라는 팟캐스트 '이동진의 빨간책방'의 오프라인 버전쯤 되려나, 누군가의 책 읽기가 또 다른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책 정보 전달에 집중하는 팟캐스트와 달리 책을 음성으로 바꾼 '듣는' 책 오디오북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달 30일 오디오 전용 플랫폼 '오디오클립'에서 유료 오디오북 판매를 시작했다. <82년생 김지영> 등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 30권을 발행해 첫날 630여 권이 팔렸다. 듣는 재미를 가미해 성우나 연극배우 외에 저자가 낭독자로 참여하거나 아이돌까지 나섰다. 어릴 적 매일 밤 동화책을 읽어주던 부모가 갑자기 확 늘어난 느낌이랄까, 과거 오디오북이 시각장애인용 콘텐츠라는 인식이 많았던 데 비해서도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구글도 올 1월 구글 플레이에 한국어까지 포함한 9개국 언어로 된 오디오북을 처음 출시했고, 국내 최대 팟캐스트 플랫폼 업체 '팟빵'은 올 4월 오디오북 사업 진출을 위해서 대한출판문화협회에 이름을 올려 화제가 됐다. 이용자 입장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오디오북의 장점이 다른 일과 병행하면서 들을 수 있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오디오북에만 집중한다"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미국 설문조사 결과도 있다.
누군가의 말처럼 인쇄된 것만이 책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할지도 모르겠다. 활자 중독 세대에겐 이런 변화가 낯설지만 웹툰을 좋아하고, 유튜브를 끼고 사는 디지털 콘텐츠 세대는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실상은 책 읽는 방식이 문제가 아니라 왜 책을 읽는지가 더 중요하겠지만 말이다.
/ 김은영 논설위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845 | [서울]서울시민 문화활동에 연 12만원 지출 | 매체 :뉴스핌 | 보도일 :2019.06.23 |
3844 | [대구]대구시 행복북구문화재단, 작은도서관에서 행복한 추억 만드세요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9.06.22 |
3843 | [충북]‘2019년 대한민국 독서대전 시민기획단’ 출범 | 매체 :내외뉴스통신 | 보도일 :2019.06.21 |
3842 | [제주]제주시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마중물배움터 확대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9.06.21 |
3841 | [서울]영등포 출퇴근길, 스마트도서관에서 책 빌려 본다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9.06.21 |
3840 | [전남]목포시의회 이금이 의원, 작은 도서관 운영 방안 제시 | 매체 :프라임경제 | 보도일 :2019.06.20 |
3839 | [인터뷰]정경미 흥덕마을 작은도서관 연합회 대표 "8년째 이어진 책 잔치… 사람들도 성장했죠"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19.06.19 |
3838 | [전남]순천시, 시민들의 삶속에 문화가 있는 도시로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9.06.19 |
3837 | [전국]작은 동네 생활 SOC시설 넓어진다…배드민턴장·도서관 등 | 매체 :메디컬월드뉴스 | 보도일 :2019.06.19 |
3836 | [전북]정읍시 “전북 서남권 문화 허브 되겠다”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