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마을도서관은 책 하나를 촛불로 키운다

매체명 : 오마이뉴스 보도일 : 2017.10.14
링크주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ss_pg.aspx?CNTN_CD=A0002367692&PAGE_CD=N0002&CMPT_CD=M0142
1990년대에서 2000년대로 접어들고서 2010년대로 이르는 동안을 가만히 되새깁니다. 이 스무 해 사이에 한국에서는 마을책방(동네책방)이라고 하는 곳이 대단히 많이 문을 닫았습니다. 이제 마을에서 자그마한 책방은 책을 팔아서 먹고살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높았어요. 참고서 장사조차 안 된다고들 했지요.

이 흐름은 틀리지 않다고 느껴요. 더욱이 이 흐름은 우리한테 앞으로 새로운 마을책방이 서야 한다는 뜻이라고도 느껴요. 이제는 참말로 큰책방이든 작은책방이든 서울책방이든 마을책방이든 '참고서에 안 기대고 오로지 책다운 책으로 마을이웃을 만나는 새로운 책방으로 거듭날 노릇'이라고 할까요. 마을책방이 마을에서 제대로 버티거나 뿌리를 내리려면 참고서를 책꽂이에서 털어낼 노릇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참고서라고 해서 나쁠 일은 없겠지요. 다만 한국 사회에서 참고서란, 거의 모두 대학입시에서 쓰고, 대학입시는 아이들을 줄세우는 계급장을 가르는 구실을 했어요. 배움길에 도움(참고)이 되는 책인 도움책(참고서)이 아닌, 그저 대학입시 시험공부 문제풀이에만 치우친 책이라면, 앞으로는 사람들이 이러한 책에 등을 돌리기 마련이라고 할 만해요. 오늘날 새로운 마을책방은 학습·입시 참고서에서 벗어나 '삶에 길동무가 되는 도움책'을 갖추는 길로 거듭나야 하고, '작은 사람이 마을에서 손수 살림을 짓는 길에 벗님이 되는 도움책'을 나누는 길로 거듭나야지 싶기도 합니다.

내가 먼저 그에게 나의 꿈을 말했다. "길모퉁이마다 작은 도서관을 만들고 싶어! 그곳에서 서로 배움을 나누는 작은 모임을 열고 싶어! 동네도서관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어!" (47쪽)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배움을 나눌 기회를 얻고 싶었다. 거기에는 번듯한 장소가 없어도 된다. 책은 각자 갖고 오면 된다. 결국, 문제는 자금이 아니었다. (49쪽)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6985 [경기] (재)김포문화재단, 알록달록 다양한 작은도서관 가을프로그램 시작 매체 :경인매일 보도일 :2023.08.25
    6984 [제주] ChatGPT와 작은도서관 활용, 교육활동 보호 등 연구 결과 보고회 매체 :제주의소리 보도일 :2023.08.25
    6983 [경기] 의정부시, 하반기 ‘동네방네 작은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매체 :위클리오늘 보도일 :2023.08.24
    6982 [전국] “전국 도서관을 하나로”, 책이음서비스 14년간 536만명 가입 매체 :뉴시스 보도일 :2023.08.24
    6981 [경기] 화성시립 팔탄작은도서관 ‘빛을 쓰다, 기억을 쓰다’ 프로그램 운영 매체 :이뉴스투데이 보도일 :2023.08.23
    6980 [경남] 양산 꿈마루작은도서관 함께하는 책 공연 매체 :경남도민일보 보도일 :2023.08.23
    6979 [충남] 충남 당진 고대웃음꽃 작은도서관 새 단장 매체 :뉴스프리존 보도일 :2023.08.21
    6978 [전북] 진안고원치유숲 숲속작은도서관 독서문화 프로그램 진행 매체 :전라일보 보도일 :2023.08.20
    6977 [제주] 중앙꿈쟁이작은도서관, 원데이클레스-북바인딩 진행 매체 :헤드라인제주 보도일 :2023.08.19
    6976 [부산] 연제구, 연제구생활문화센터‧토곡어린이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부산일보 보도일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