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대전시 공공도서관 이대로 괜찮나] 3. 타시도 사례

매체명 : 중도일보 보도일 : 2017.10.02
링크주소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71005010000200
총체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대전시 공공도서관이 주민의 시설로 거듭나기 위해 타 시도의 성공적 사례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자원봉사자 및 커뮤니티를 활성화한 시민참여형 도서관은 서울 광진구와 서대문구, 경기도 부천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서울 광진구는 광진정보도서관 운영에 '도서관 친구'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도서관 친구들은 지역주민들이 광진정보도서관 운영을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만든 비영리 민간단체다. 이 민간단체는 도서관 재정 및 프로그램 활동 지원, 자원봉사, 프로그램 홍보, 정책 제안, 시민단체와 연계활동을 전개한다.

서울 서대문구의 서대문구립도서관에선 자원봉사자 활동이 활발하다. 작은도서관의 자원봉사자가 어린이들에게 작은도서관 소개와 함께 도서관 이용 방법 및 예절을 소개해 주는 도서관 견학 프로그램 '도서관 데이'를 운영한다.

경기도 부천시 부천시립도서관은 정부3.0 국민디자인단의 일환으로 학부모, 청소년, 사회적 기업, 중학교진로교사협의회, 고등학교진학교사협의회 등 시민들이 도서관 운영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동네서점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 장서를 지역서점에서 구입하고 '희망 도서 바로 대출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도서관 활성화에 매진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관련 정책 모범 사례로는 김해시와 군포시, 수원시가 눈에 띈다.

김해시는 2007년 '책읽는 도시 김해'를 선포하고, 발전계획으로 정책전담부서 보강, 도서관 통합 시스템운영, 권역별 공공도서관 건립, 생활밀착형 작은도서관 조성, 공공도서관 전문인력 강화 등을 설정했다.

군포시는 2010년 책 읽는 군포실을 출범하고 2014년엔 책읽는 사업소로 조직을 확대했다. 책읽는 군포 사업은 생활밀착형 독서환경 조성, 인문학 메카 조성, 창작이 있는 도시 만들기 사업으로 구성됐다.

수원시 수원시도서관은 각 도서관마다 주제별 특성화를 꾀했다. 특히 광교홍재 도서관은 디자인 특성화 도서관으로 눈길을 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6103 [전북] 전주시, 한국출판인회의 임원진과 도서관 여행 진행 매체 :한국강사신문 보도일 :2022.06.18
    6102 [인천] 제주 노인 삶 담긴 그림책 전시... '제주에서 오랏습니다' 매체 :인천in 보도일 :2022.06.17
    6101 [서울] 용산구 효창동 작은도서관, 원어민 찰리와 함께하는 영어동화 독서 교실 운영 매체 :열린뉴스통신 보도일 :2022.06.17
    6100 [경남] LH 공공임대주택 작은도서관 활성화 나서 매체 :아파트관리신문 보도일 :2022.06.17
    6099 [전북] 인후3동 주민자치위 어깨동무작은도서관 도서기증 매체 :전북중앙 보도일 :2022.06.15
    6098 [경기] 지혜의 등대 작은도서관, 월 1회 스포츠 독서동아리 ‘읽스포’ 운영 매체 :기호일보 보도일 :2022.06.15
    6097 [경기] 수원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위한 ‘도서관 학교’ 운영 매체 :e대한경제 보도일 :2022.06.15
    6096 [대구] 대구시, 아파트·행정복지센터·작은도서관 등 65개소서 화초 돌봄 실시 매체 :국제뉴스 보도일 :2022.06.14
    6095 [경기] 광명시 치매안심센터, 경도인지장애 어르신 대상 ‘두뇌똑똑’프로그램 진행 매체 :경인매일 보도일 :2022.06.14
    6094 [전북] 정읍 작은도서관 5곳 '책 체험버스'운영사업 선정 매체 :전라일보 보도일 :2022.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