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전국]문체부, 전국 700개 공공도서관에 대활자본 도서 24,408권 배포
매체명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일 : 2017.07.25
‘어르신, 인기 도서를 큰 글씨로 즐겨보세요’
- 문체부, 전국 700개 공공도서관에 대활자본 도서 24,408권 배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가 지원하고 한국도서관협회(회장 이상복)가 추진하는 ‘2017년 대활자본 보급 확대 사업’으로 제작된 대활자본 도서 24,408권이 전국 700개의 공공도서관에 배포된다.
"대활자본 보급 확대 사업"은 시력 문제로 독서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떨어지는 어르신과 저시력자를 대상으로 독서를 장려하고 공공도서관의 고령층 독서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자 2011년부터 추진되어 왔다.
올해는 특별히 2014년부터 구축·운영해 온 도서관 거대자료(빅데이터) 시스템(http://data4library.kr, 국립중앙도서관 운영)이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50대 이상 이용자의 인기 대출 도서’와 대형서점의 ‘2016년 판매통계자료’를 활용해 443권의 후보 도서를 선정했다. 그리고 도서관 및 출판계 전문가들의 심사회의를 거쳐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클라우 슈밥, 새로운현재), 「인생견문록」(김홍신, 해냄), 「오베라는 남자」(프레드릭 베크만, 다산책방) 등 문학, 철학, 건강 등 다양한 주제의 23종, 24책의 도서가 보급 도서 목록으로 선정됐다.
2017년에는 고령화시대에 대비해 도서관의 고령층 서비스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보급 책 수보다 보급 도서관 수 확대에 중점을 두었으며, 전년 대비 140개관이 증가한 700개의 공공도서관에 배포한다. 배포된 도서는 공공도서관의 대활자본 전용 서가에 배치되거나 고령층 독서프로그램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배포 도서 목록과 배포 도서관 목록은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누리집(http://www.clip.go.kr)의 ‘정책자료실 > 도서관 정책자료’ 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어르신들이 대활자본 도서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을 통해 문화를 다양하게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 오디오북 보급, 고령층 전용 인문강좌 개설, 노인복지시설 책 배달 서비스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문체부, 전국 700개 공공도서관에 대활자본 도서 24,408권 배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가 지원하고 한국도서관협회(회장 이상복)가 추진하는 ‘2017년 대활자본 보급 확대 사업’으로 제작된 대활자본 도서 24,408권이 전국 700개의 공공도서관에 배포된다.
"대활자본 보급 확대 사업"은 시력 문제로 독서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떨어지는 어르신과 저시력자를 대상으로 독서를 장려하고 공공도서관의 고령층 독서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자 2011년부터 추진되어 왔다.
올해는 특별히 2014년부터 구축·운영해 온 도서관 거대자료(빅데이터) 시스템(http://data4library.kr, 국립중앙도서관 운영)이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50대 이상 이용자의 인기 대출 도서’와 대형서점의 ‘2016년 판매통계자료’를 활용해 443권의 후보 도서를 선정했다. 그리고 도서관 및 출판계 전문가들의 심사회의를 거쳐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클라우 슈밥, 새로운현재), 「인생견문록」(김홍신, 해냄), 「오베라는 남자」(프레드릭 베크만, 다산책방) 등 문학, 철학, 건강 등 다양한 주제의 23종, 24책의 도서가 보급 도서 목록으로 선정됐다.
2017년에는 고령화시대에 대비해 도서관의 고령층 서비스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보급 책 수보다 보급 도서관 수 확대에 중점을 두었으며, 전년 대비 140개관이 증가한 700개의 공공도서관에 배포한다. 배포된 도서는 공공도서관의 대활자본 전용 서가에 배치되거나 고령층 독서프로그램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배포 도서 목록과 배포 도서관 목록은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누리집(http://www.clip.go.kr)의 ‘정책자료실 > 도서관 정책자료’ 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어르신들이 대활자본 도서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을 통해 문화를 다양하게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 오디오북 보급, 고령층 전용 인문강좌 개설, 노인복지시설 책 배달 서비스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7175 | [경기] 오봉산마을1단지 행복작은도서관, ‘동네 사랑방’으로 활성화 | 매체 :아파트관리신문 | 보도일 :2023.12.12 |
7174 | [충남] 당진시립도서관, '면천읍성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23.12.11 |
7173 | [전북] 작은도서관에서 책 읽고 자연 이야기 찾아 숲 모험에 나선 아이들 | 매체 :부안독립신문 | 보도일 :2023.12.08 |
7172 | [광주] LH 광주전남, 작은도서관 성과나눔 공유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23.12.07 |
7171 | [부산] 영도도서관,「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사업」성료 | 매체 :위클리오늘 | 보도일 :2023.12.06 |
7170 | [대구] “작은도서관이 ‘아파트 사랑방’ 역할 톡톡” | 매체 :한국아파트신문 | 보도일 :2023.12.06 |
7169 | [경기] ‘지역사회 열린학교’ 작은도서관 설립 세미나 | 매체 :크리스천투데이 | 보도일 :2023.12.05 |
7168 | [경기] 고양삼송휴먼시아3단지, 동네북작은도서관 개관식 개최한다 | 매체 :아파트관리신문 | 보도일 :2023.12.05 |
7167 | [서울] 구립증산정보도서관, 2023년 공공-작은도서관 연계협력사업 성료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23.12.05 |
7166 | [대구] ‘호정작은도서관’ 다양한 문화강좌 진행 | 매체 :한국아파트신문 | 보도일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