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북]'새마을' 명칭 붙은 작은도서관에만 예산 지원
매체명 : 매일경제
보도일 : 2017.06.16
구미시 38곳 중 27곳 지원…새마을 안 붙은 11곳 지원 없어
경북 구미시가 '새마을'이란 명칭이 붙은 작은도서관에만 예산을 지원해 비난을 받고 있다.
16일 구미시에 따르면 개인과 법인이 운영하는 작은도서관 38곳 중 새마을 작은도서관 27곳에 매년 80만∼460만원의 도서구입비·운영비를 주고 나머지 11곳에는 지원하지 않았다.
연도별로는 2013년 2천800만원, 2014년 4천874만원, 5천400만원, 3천700만원을 지원했다.
예산 지원 근거는 전국에 작은도서관 설립 붐이 일던 2013년 7월 작은도서관 지원 조례를 제정한 데 따른 것이다.
조례에 따르면 1천권 이상 장서를 갖추고 6석 이상 열람석과 33㎡ 이상 건물 면적을 확보하면 민간 작은도서관으로 등록할 수 있고 지원받을 수 있다.
시가 새마을도서관에만 예산을 주는 이유는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에 예산을 일괄적으로 지원하고,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가 도서관 규모에 따라 예산을 분배하기 때문이다.
구미참여연대 황대철 집행위원장은 "도서관 명칭에 새마을이 들어가야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차별이다"며 "작은도서관 예산 지원업무를 문화담당관실이 아닌 새마을과가 맡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구미시에 예산 지원을 요청하니 '새마을 명칭을 달면 지원받을 수 있다'는 답변을 했다"고 주장했다.
구미시 인동 한 아파트 주민자치회는 예산을 받기 위해 지난해 어쩔 수 없이 도서관 이름에 새마을을 넣고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에 등록했다.
새마을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작은도서관은 YMCA, 교회, 아파트 자치회, 독서컨설팅 관련 그룹이 운영하는 곳이다.
황 집행위원장은 "구미시의 노골적인 편파 지원은 작은도서관 조례 제정의 취지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인 풀뿌리 운동마저 죽이는 것"이라며 "새마을을 지원하는 왜곡된 시책을 개선해야 하고 이를 위해 새마을과를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미시 이묵 부시장은 "요건을 갖추지 못한 작은도서관에는 예산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 작은도서관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경북 구미시가 '새마을'이란 명칭이 붙은 작은도서관에만 예산을 지원해 비난을 받고 있다.
16일 구미시에 따르면 개인과 법인이 운영하는 작은도서관 38곳 중 새마을 작은도서관 27곳에 매년 80만∼460만원의 도서구입비·운영비를 주고 나머지 11곳에는 지원하지 않았다.
연도별로는 2013년 2천800만원, 2014년 4천874만원, 5천400만원, 3천700만원을 지원했다.
예산 지원 근거는 전국에 작은도서관 설립 붐이 일던 2013년 7월 작은도서관 지원 조례를 제정한 데 따른 것이다.
조례에 따르면 1천권 이상 장서를 갖추고 6석 이상 열람석과 33㎡ 이상 건물 면적을 확보하면 민간 작은도서관으로 등록할 수 있고 지원받을 수 있다.
시가 새마을도서관에만 예산을 주는 이유는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에 예산을 일괄적으로 지원하고,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가 도서관 규모에 따라 예산을 분배하기 때문이다.
구미참여연대 황대철 집행위원장은 "도서관 명칭에 새마을이 들어가야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차별이다"며 "작은도서관 예산 지원업무를 문화담당관실이 아닌 새마을과가 맡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구미시에 예산 지원을 요청하니 '새마을 명칭을 달면 지원받을 수 있다'는 답변을 했다"고 주장했다.
구미시 인동 한 아파트 주민자치회는 예산을 받기 위해 지난해 어쩔 수 없이 도서관 이름에 새마을을 넣고 새마을문고 구미시지부에 등록했다.
새마을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작은도서관은 YMCA, 교회, 아파트 자치회, 독서컨설팅 관련 그룹이 운영하는 곳이다.
황 집행위원장은 "구미시의 노골적인 편파 지원은 작은도서관 조례 제정의 취지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인 풀뿌리 운동마저 죽이는 것"이라며 "새마을을 지원하는 왜곡된 시책을 개선해야 하고 이를 위해 새마을과를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미시 이묵 부시장은 "요건을 갖추지 못한 작은도서관에는 예산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 작은도서관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864 | [경북]영양군 수비면 정경식 氏, 작은도서관 활성화 위해 3년째 수백권 도서기증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9.07.02 |
3863 | [전남]순천시, ‘시민이 바라는 미래 도서관’ 토크콘서트 열어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9.07.02 |
3862 | [경남]김해시 독서대전 10월 본 행사 향해 순항 | 매체 :일요신문 | 보도일 :2019.07.02 |
3861 | [경기]용인시, 도서관에서 맞벌이 부부 자녀 돌봄…청년지원센터도 건립 | 매체 :문화일보 | 보도일 :2019.07.01 |
3860 | [충남]예산군 여성친화도시 군민참여단, 다양한 활동 펼쳐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19.07.01 |
3859 | [경기]경기도, ‘돌봄 공백’ 메우기 본격 시동 눈앞 | 매체 :뉴스웨이 | 보도일 :2019.07.01 |
3858 | [대구]대구시 작은도서관 6개관에서 북콘서트 개최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9.06.26 |
3857 | [경기]오산시, 작은도서관 등 활용 '틈새돌봄' 적극 지원 | 매체 :스포츠서울 | 보도일 :2019.06.26 |
3856 | [전남]순천시, ‘시민이 바라는 도서관의 미래’ 광장 토론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9.06.26 |
3855 | [충남]당진시, 시립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모색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1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