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문체부, 세종도서 선정 ‘더 공정하게’
매체명 : 세계일보
보도일 : 2017.04.06
정부가 전국 도서관에 비치할 우수도서를 선정하는 세종도서 사업의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사위원을 추첨으로 뽑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심사위원 풀제, 참여위원 추첨제, 심의정보 공개 등 공정성 강화 방안을 담은 ‘2017년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계획’을 5일 발표했다.
올해부터 세종도서를 선정할 심사위원은 각급 단체나 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아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풀)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뽑힌다. 학술, 교양 도서 심사위원의 경우 한국경제학회 등 177개 단체와 학회의 추천을 받아 분과별로 3~5배수의 심사위원 후보자군을 구성한 뒤 추첨한다.
문학나눔 분야 도서는 심사위원은 물론 심사위원을 추천할 추천위원 선발까지 두 단계에 걸쳐 풀제와 추첨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한국문인협회 등 40개 단체와 학회 추천을 받아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추천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으로 15명 내외의 추천위원을 선정한다. 이들 추천위원 추천으로 분과별로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을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단계별로 심사평과 회의록을 작성해 도서 선정 결과를 발표할 때 공개하기로 했다.
문체부는 대형 서적도매상인 송인서적 부도 등으로 침체된 출판계에 힘을 싣기 위해 올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종수를 대폭 확대한다. 상반기 학술(320종), 교양(220종), 문학나눔(250종) 분야 총 790종을 선정해 85억원어치의 도서를 구매할 계획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학술 분야에서만 319종, 35억원500만원어치를 구매했다. 연간 예산은 작년과 올해 모두 140억원이다.
지난달 20~30일 진행된 상반기 세종도서 신청 접수에는 9069종이 접수돼 지난해(9.8대 1)보다 높은 1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학술 4013종, 교양 3429종, 문학나눔 1627종이 접수됐다.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결과는 7월 말 발표한다.
세종도서는 정부가 전국 공공도서관 등에 비치할 우수 도서를 선정해 종당 1천만원 이내로 구매해주는 출판지원사업으로 1968년부터 시행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심사위원 풀제, 참여위원 추첨제, 심의정보 공개 등 공정성 강화 방안을 담은 ‘2017년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계획’을 5일 발표했다.
올해부터 세종도서를 선정할 심사위원은 각급 단체나 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아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풀)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뽑힌다. 학술, 교양 도서 심사위원의 경우 한국경제학회 등 177개 단체와 학회의 추천을 받아 분과별로 3~5배수의 심사위원 후보자군을 구성한 뒤 추첨한다.
문학나눔 분야 도서는 심사위원은 물론 심사위원을 추천할 추천위원 선발까지 두 단계에 걸쳐 풀제와 추첨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한국문인협회 등 40개 단체와 학회 추천을 받아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추천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으로 15명 내외의 추천위원을 선정한다. 이들 추천위원 추천으로 분과별로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을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단계별로 심사평과 회의록을 작성해 도서 선정 결과를 발표할 때 공개하기로 했다.
문체부는 대형 서적도매상인 송인서적 부도 등으로 침체된 출판계에 힘을 싣기 위해 올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종수를 대폭 확대한다. 상반기 학술(320종), 교양(220종), 문학나눔(250종) 분야 총 790종을 선정해 85억원어치의 도서를 구매할 계획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학술 분야에서만 319종, 35억원500만원어치를 구매했다. 연간 예산은 작년과 올해 모두 140억원이다.
지난달 20~30일 진행된 상반기 세종도서 신청 접수에는 9069종이 접수돼 지난해(9.8대 1)보다 높은 1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학술 4013종, 교양 3429종, 문학나눔 1627종이 접수됐다.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결과는 7월 말 발표한다.
세종도서는 정부가 전국 공공도서관 등에 비치할 우수 도서를 선정해 종당 1천만원 이내로 구매해주는 출판지원사업으로 1968년부터 시행됐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235 | [울산] 동네 도서관 폭염 피서지로 각광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15.08.05 |
1234 | [서울] 마포구 7개 도서관 광복 70주년 특별 프로그램 운영 | 매체 :서울 퍼블릭뉴스 | 보도일 :2015.08.04 |
1233 | [인천] 인천 청소년 인문학토론대회 독서 의견공유 … 소통·발표능력도 업!-청소년인문학도서관 doing | 매체 :인천일보 | 보도일 :2015.08.04 |
1232 | [제주] 제주문학의 집 문학학교 운영 - 금능꿈차롱도서관 | 매체 :한라일보 | 보도일 :2015.08.04 |
1231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독서교육 전문지도사 양성과정> 교육 실시 - 경기도 작은도서관 협회와 공동주관 | 매체 :한겨레 | 보도일 :2015.08.04 |
1230 | [서울] 서울 송파구, '북캉스' 프로그램 눈길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08.04 |
1229 | [전국]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과제 - 박상신 인천시 문화예술과장 | 매체 :경인일보 | 보도일 :2015.08.03 |
1228 | [경북] 포항 선바위작은도서관, 산촌마을할머니 대상 한글교실 | 매체 :경상매일신문 | 보도일 :2015.08.03 |
1227 | [전국] “전국 피서지에서 동네책방 만나요” | 매체 :한겨레신문 | 보도일 :2015.08.03 |
1226 | [대구] “도서관서 휴가 즐겨요” 칠곡 새마을문고 운영 - 지역내 작은도서관 회원들 주축으로 | 매체 :대구일보 | 보도일 :201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