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문화체육관광부]4차 산업혁명, 도서관의 역할은?…'도서관정책기획포럼' 출범
매체명 : 문화뉴스
보도일 : 2016.03.29
"4차 산업혁명 등, 새 시대를 맞아 국민이 누리는 정책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30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에서 '도서관정책기획포럼' 출범식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이하 도서관위원회)와 함께 개최한다. 문체부와 도서관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등,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변화시키고 확대하기 위해 '도서관정책기획포럼' 위원을 도서관뿐만 아니라 건축문화, 사회과학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도서관정책기획포럼(이하 포럼)'은 앞으로 공간, 사람(매개자 및 주민), 콘텐츠 및 서비스의 3개 분과로 나눠 도서관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발굴한다. 아울러 이번 출범식을 시점으로 3월부터 9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발제와 토론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포럼의 주요 과제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도서관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과 이를 서비스하는 '사서 등 매개자의 역량 강화', 그리고 국민친화도서관으로서의 도서관뿐만 아니라 박물관 등, '문화시설의 건축문화공간' 등이다.
신숙원 도서관위원회위원장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을 도서관뿐만 아니라 국민 주변의 문화기반시설에 도입해 질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한편, 이와 못지않게 인간성(Humanity)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문화 복지의 확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포럼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신 위원장은 "그간 도서관계에서만 논의해 왔던 정책과제를 이 포럼을 통해 건축가, 사회학자, 경영자 등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 고민하고 협력함으로써 더욱 다양하고 발전적인 정책모델을 제시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라며, "도서관정책기획포럼에서 발굴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폭넓은 의견 수렴이 필요한 만큼 학계, 현장, 국민 등을 대상으로 10월 중에 공개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문체부 문영호 문화기반정책관은 "도서관은 국민 생활 속 문화시설로서, 전국에 가장 많이 분포(작은도서관 포함, 약 2만 개)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이 원하는 도서관 정책을 발굴해 실행한다면 그만큼의 전문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라며, "이제는 국민의 인문·문화예술 거점으로서의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 등 사회적 의제도 도서관에서 적극적으로 담당해야 한다. 포럼 위원들이 고령층과 베이비부머 세대 등에 대한 과제 발굴에도 관심을 두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30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에서 '도서관정책기획포럼' 출범식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이하 도서관위원회)와 함께 개최한다. 문체부와 도서관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등,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변화시키고 확대하기 위해 '도서관정책기획포럼' 위원을 도서관뿐만 아니라 건축문화, 사회과학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도서관정책기획포럼(이하 포럼)'은 앞으로 공간, 사람(매개자 및 주민), 콘텐츠 및 서비스의 3개 분과로 나눠 도서관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발굴한다. 아울러 이번 출범식을 시점으로 3월부터 9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발제와 토론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포럼의 주요 과제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도서관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과 이를 서비스하는 '사서 등 매개자의 역량 강화', 그리고 국민친화도서관으로서의 도서관뿐만 아니라 박물관 등, '문화시설의 건축문화공간' 등이다.
신숙원 도서관위원회위원장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을 도서관뿐만 아니라 국민 주변의 문화기반시설에 도입해 질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한편, 이와 못지않게 인간성(Humanity)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문화 복지의 확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포럼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신 위원장은 "그간 도서관계에서만 논의해 왔던 정책과제를 이 포럼을 통해 건축가, 사회학자, 경영자 등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 고민하고 협력함으로써 더욱 다양하고 발전적인 정책모델을 제시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라며, "도서관정책기획포럼에서 발굴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폭넓은 의견 수렴이 필요한 만큼 학계, 현장, 국민 등을 대상으로 10월 중에 공개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문체부 문영호 문화기반정책관은 "도서관은 국민 생활 속 문화시설로서, 전국에 가장 많이 분포(작은도서관 포함, 약 2만 개)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이 원하는 도서관 정책을 발굴해 실행한다면 그만큼의 전문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라며, "이제는 국민의 인문·문화예술 거점으로서의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 등 사회적 의제도 도서관에서 적극적으로 담당해야 한다. 포럼 위원들이 고령층과 베이비부머 세대 등에 대한 과제 발굴에도 관심을 두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374 | [경북]김천시립도서관, 연이은 공모사업 선정 | 매체 :환경일보 | 보도일 :2020.03.30 |
4373 | [충남]천안시, 중앙도서관 개관 30주년 기념 독서온도탑 설치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20.03.30 |
4372 | [경남]거제시립도서관 ‘2020년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선정 | 매체 :위클리오늘 | 보도일 :2020.03.30 |
4371 | [경남]경남 김해시, 안동문화의집 작은도서관에 웹툰창작체험관 조성 | 매체 :데일리한국 | 보도일 :2020.03.30 |
4370 | [경남]김해시, 동네책방 활성화 다양한 지원 | 매체 :일요신문 | 보도일 :2020.03.30 |
4369 | [경기]성남시 코로나 블루 극복 “응원의 책 추천해 주세요” | 매체 :불교공뉴스 | 보도일 :2020.03.30 |
4368 | [경북]포항 작은도서관 5곳서도 특별예약대출 가능 | 매체 :경상매일신문 | 보도일 :2020.03.29 |
4367 | [부산]사하구 작은도서관, 단계별 '도서대출서비스' 시행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20.03.29 |
4366 | [광주]광주 북구, 작은도서관 활성화…전문성 확보에 나선다. | 매체 :뉴스웨이 | 보도일 :2020.03.27 |
4365 | [전남]순천시 덕월우성아파트 바느질 동아리, 면 마스크 만들어 주민들과 나눠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2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