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유종필 관악구청장 '세계 도서관, 관악 도서관' 주제 특강
매체명 : 아시아경제
보도일 : 2017.02.15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세계의 도서관, 관악의 도서관’ 주제로 관악구의 도서관 사업 알려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14일 오후 2시 일본 도쿄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계의 도서관, 관악의 도서관’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했다.
일본 지역자원학회 주최로 열린 국제 심포지엄은 ‘도시를 재생하는 마법의 뮤지엄’이라는 주제로 일본의 대학교수, 시민운동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일본 지역자원학회는 2006년 설립한 학술연구단체로 지역의 특색있는 고유자원을 발굴, 평가 인증, 전국에 확산 발전시키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강연은 2013년 관악구의 도서관과 지식복지 정책을 시찰하기 위해 방문한 일본 지역자원학회 회장 츠카하라 마사히코(토키와 대학 교수)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유종필 구청장은 강연에서 박물관과 도서관의 기원인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의 의회도서관을 시작으로 국회도서관장 시절 세계 각지의 도서관을 둘러본 내용과 오바마, 에디슨, 빌게이츠의 사례를 들어 도서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관악구의 ‘작은도서관’ 성공사례와 ‘지식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소개하며 일본 지역자원학회 회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지식도시락 배달’은 지역 내 모든 도서관을 통합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신청하고 원하는 장소로 책을 배달받는 서비스다.
특히 일본 지역자원학회는 2010년 출간되어 꾸준히 사랑받아온 유 구청장의 ‘세계도서관 기행’에 관심을 갖고 대만번역본(2012년 3월)에 이어 지난해 9월 일본에서 개정증보판으로 번역 출간하는데 지원했다.
이번 일본 개정증보판에서는 저자 유종필을 도서관의 미래를 보는 한국 지식의 철학자, 사회디자이너이자 사회 사상가이며, 정치인이라고 소개했다.
유종필 구청장은 “구의 도서관 사업은 일본 지역자원학회, 일본 희망제작소 등에서 큰 관심을 갖고 있고 2013년 일본 도쿄신문을 통해 자세히 소개된 바 있으며,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켜 정책의 우수성이 입증됐다”며 “앞으로도 일본 지역자원학회와 지방자치단체간 정기적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14일 오후 2시 일본 도쿄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계의 도서관, 관악의 도서관’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했다.
일본 지역자원학회 주최로 열린 국제 심포지엄은 ‘도시를 재생하는 마법의 뮤지엄’이라는 주제로 일본의 대학교수, 시민운동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일본 지역자원학회는 2006년 설립한 학술연구단체로 지역의 특색있는 고유자원을 발굴, 평가 인증, 전국에 확산 발전시키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강연은 2013년 관악구의 도서관과 지식복지 정책을 시찰하기 위해 방문한 일본 지역자원학회 회장 츠카하라 마사히코(토키와 대학 교수)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유종필 구청장은 강연에서 박물관과 도서관의 기원인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의 의회도서관을 시작으로 국회도서관장 시절 세계 각지의 도서관을 둘러본 내용과 오바마, 에디슨, 빌게이츠의 사례를 들어 도서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관악구의 ‘작은도서관’ 성공사례와 ‘지식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소개하며 일본 지역자원학회 회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지식도시락 배달’은 지역 내 모든 도서관을 통합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신청하고 원하는 장소로 책을 배달받는 서비스다.
특히 일본 지역자원학회는 2010년 출간되어 꾸준히 사랑받아온 유 구청장의 ‘세계도서관 기행’에 관심을 갖고 대만번역본(2012년 3월)에 이어 지난해 9월 일본에서 개정증보판으로 번역 출간하는데 지원했다.
이번 일본 개정증보판에서는 저자 유종필을 도서관의 미래를 보는 한국 지식의 철학자, 사회디자이너이자 사회 사상가이며, 정치인이라고 소개했다.
유종필 구청장은 “구의 도서관 사업은 일본 지역자원학회, 일본 희망제작소 등에서 큰 관심을 갖고 있고 2013년 일본 도쿄신문을 통해 자세히 소개된 바 있으며,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켜 정책의 우수성이 입증됐다”며 “앞으로도 일본 지역자원학회와 지방자치단체간 정기적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909 | [서울]벚꽃 만개한 중랑천 산책로 ‘겸재 책거리 축제’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8.04.04 |
2908 | [경기]용인시,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 워크숍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8.04.03 |
2907 | [전국]작은도서관에 '클라우드 도입법' 발의..송희경 의원 | 매체 :이데일리 | 보도일 :2018.04.03 |
2906 | [충남]천안시, 9개 사립작은도서관에 3600만원 지원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18.04.02 |
2905 | [경기]군포시, 도서관 통합반납서비스 확대 운영 | 매체 :뉴스웍스 | 보도일 :2018.04.02 |
2904 | [서울]송파구 ‘작은도서관 행복도우미 교육’ 실시 | 매체 :서울구민신문 | 보도일 :2018.03.30 |
2903 | [청주]작은도서관 운영평가 결과 93곳 보조금 지원관 선정 | 매체 :중부뉴스통신 | 보도일 :2018.03.29 |
2902 | [광주]광주 서구 '작은도서관 활성화' 지원 사업 설명회 | 매체 :노컷뉴스 | 보도일 :2018.03.28 |
2901 | [서울]구로구 안 읽는 책 사들여 도서관에 기증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18.03.28 |
2900 | [전주]작은도서관, 문화소통공간으로 키운다! [2] | 매체 :노컷뉴스 | 보도일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