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책 읽는 지자체'를 만나다│⑭ 수원시] 카페보다 가고 싶은 도서관을 짓다
매체명 : 내일신문
보도일 : 2016.09.09
['책 읽는 지자체'를 만나다│⑭ 수원시] 카페보다 가고 싶은 도서관을 짓다
사방이 트인 공간·큰 창에 안락한 소파 … 시장이 직접 도서관 설계 챙겨
2016-09-19 11:10:24 게재
시민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된 지 오래다. 2015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지난 1년 동안 1권 이상의 책을 읽은 성인은 100명 중 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0%가 넘는 시민들은 1년 동안 한 번도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이 도서관·독서 정책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는가에 따라 시민들의 독서율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기초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독서 정책을 펼칠 때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보다 가까이에서 쉽게 책을 접하고 함께 읽고 토론할 수 있게 된다. 내일신문은 도서관·독서 정책에 집중하는 기초 지자체를 취재, 모범 사례를 공유한다. <편집자주>
"집이 좋아야 집에 들어가고 싶고 그 안에서 바른 품성과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 도서관도 마찬가지입니다. 탁 트인 열린 공간에 어디서나 빛이 들어와 쾌적한 공간, 책을 읽으러도 오지만 쉬고 영화를 보고 PC 작업을 하러도 오는 공간, 무엇보다 카페보다 더 가고 싶은 공간이 도서관이 돼야 합니다." 12일 오후 집무실에서 만난 염태영 수원시장의 일성이다. 2010년 민선 5기에 그가 당선된 이후 수원의 도서관들은 싹 탈바꿈했다.
공원과 맞닿은 도서관에 온가족이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이라면 흔히 떠올리는 정형화된 의자, 딱딱한 느낌의 서가로 채워진 도서관은 최소한 수원에서만큼은 찾기 어렵다. 대신 그 자리엔 '우리나라의 도서관도 이렇게 지어질 수 있구나!'라는 감탄사가 나올 만큼 넓은 창에 빛이 쏟아지는 열린 공간, 다양한 의자와 소파로 구성돼 이용자들이 잠을 자도 될 것처럼 편안하게 구성된 공간이 들어섰다.
염 시장은 선진국의 도서관들이 부러웠다고 고백한다. 탁 트인 개방 공간, 밝고 경쾌하고 트렌디한 공간을 가진 도서관은 늘 시민들로 북적였다. 시민들이 평일엔 직장 생활을 하고 휴일엔 도서관을 찾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는 "도서관 문을 열고 밖으로 나오면 공원이 있도록 설계해 가족들이 도서관에, 또 공원에 들러 책을 읽으며 쉴 수 있었으면 했다"면서 "수원의 경우 공원마다 가능한 한 도서관을 함께 조성하려고 했다"고 강조했다.
※기사 전문과 포함된 사진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사방이 트인 공간·큰 창에 안락한 소파 … 시장이 직접 도서관 설계 챙겨
2016-09-19 11:10:24 게재
시민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된 지 오래다. 2015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지난 1년 동안 1권 이상의 책을 읽은 성인은 100명 중 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0%가 넘는 시민들은 1년 동안 한 번도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이 도서관·독서 정책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는가에 따라 시민들의 독서율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기초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독서 정책을 펼칠 때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보다 가까이에서 쉽게 책을 접하고 함께 읽고 토론할 수 있게 된다. 내일신문은 도서관·독서 정책에 집중하는 기초 지자체를 취재, 모범 사례를 공유한다. <편집자주>
"집이 좋아야 집에 들어가고 싶고 그 안에서 바른 품성과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 도서관도 마찬가지입니다. 탁 트인 열린 공간에 어디서나 빛이 들어와 쾌적한 공간, 책을 읽으러도 오지만 쉬고 영화를 보고 PC 작업을 하러도 오는 공간, 무엇보다 카페보다 더 가고 싶은 공간이 도서관이 돼야 합니다." 12일 오후 집무실에서 만난 염태영 수원시장의 일성이다. 2010년 민선 5기에 그가 당선된 이후 수원의 도서관들은 싹 탈바꿈했다.
공원과 맞닿은 도서관에 온가족이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이라면 흔히 떠올리는 정형화된 의자, 딱딱한 느낌의 서가로 채워진 도서관은 최소한 수원에서만큼은 찾기 어렵다. 대신 그 자리엔 '우리나라의 도서관도 이렇게 지어질 수 있구나!'라는 감탄사가 나올 만큼 넓은 창에 빛이 쏟아지는 열린 공간, 다양한 의자와 소파로 구성돼 이용자들이 잠을 자도 될 것처럼 편안하게 구성된 공간이 들어섰다.
염 시장은 선진국의 도서관들이 부러웠다고 고백한다. 탁 트인 개방 공간, 밝고 경쾌하고 트렌디한 공간을 가진 도서관은 늘 시민들로 북적였다. 시민들이 평일엔 직장 생활을 하고 휴일엔 도서관을 찾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는 "도서관 문을 열고 밖으로 나오면 공원이 있도록 설계해 가족들이 도서관에, 또 공원에 들러 책을 읽으며 쉴 수 있었으면 했다"면서 "수원의 경우 공원마다 가능한 한 도서관을 함께 조성하려고 했다"고 강조했다.
※기사 전문과 포함된 사진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6649 | [경북] 안동시립도서관, 13일부터 ‘책이음 서비스’ 운영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23.03.09 |
6648 | [경기] 의왕시-LH, 경기도 최초 공립작은도서관 설치 공간 무상임대 협약 체결 | 매체 :매일일보 | 보도일 :2023.03.09 |
6647 | [경북] 김천시립도서관, 상반기 문화강좌 수강생 모집…15~20일 접수 | 매체 :경북일보 | 보도일 :2023.03.08 |
6646 | [경기] 시흥시, 우리동네 학습공간 ‘학습별다방’ 운영 활발 | 매체 :뉴스프리존 | 보도일 :2023.03.08 |
6645 | [부산] "기관·시설에서도 도서대출 OK”…부산 북구 ‘생활도서관’ 운영 | 매체 :부산일보 | 보도일 :2023.03.08 |
6644 | [경기] “부족한 문화시설 작은도서관이 채워줘요” | 매체 :한국아파트신문 | 보도일 :2023.03.08 |
6643 | [서울] 금천구, 초등학생 대상 생활과학교실 운영 | 매체 :열린뉴스통신 | 보도일 :2023.03.08 |
6642 | [경기] 동두천시 남산모루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및 유치원 대상 견학프로그램 운영 | 매체 :경인매일 | 보도일 :2023.03.07 |
6641 | [경기] 안성 양성작은도서관 박남준 시인과의 만남 ‘시가 주는 삶의 위로’ 운영 | 매체 :인천일보 | 보도일 :2023.03.07 |
6640 | [서울] “우리 아이 첫 독서” 종로구, 영유아에게 책 꾸러미 선물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