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지자체'를 만나다 연재기사 ⑨ 시흥시] "다른 지역에서 시흥으로 이사온다"

매체명 : 내일신문 보도일 : 2016.06.26
링크주소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00856
시민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된 지 오래다. 2015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지난 1년 동안 1권 이상의 책을 읽은 성인은 100명 중 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0%가 넘는 시민들은 1년 동안 한 번도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이 도서관·독서 정책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는가에 따라 시민들의 독서율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기초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독서 정책을 펼칠 때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보다 가까이에서 쉽게 책을 접하고 함께 읽고 토론할 수 있게 된다. 내일신문은 도서관·독서 정책에 집중하는 기초 지자체를 취재, 모범 사례를 공유한다. <편집자주>

"시민이 참여한다는 말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시민이 대상화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참여를 넘어 시민이 주인 노릇을 하는 시민주도형 도시로 만들어 가자는 것이 시흥시의 기조입니다. 도서관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21일 오후 경기도 시흥시 진로도서관에서 만난 김윤식 시흥시장의 일성이다. 2009년부터 시장직에 재임하고 있는 김 시장은 매사에 '시민이 주인'을 강조한다. 이제 시 공무원들이 모든 정책에 '시민'을 먼저 생각할 정도가 됐다.
"준비된 시민 자원 믿어"

시민들이 책임지고 운영하는 시흥시의 '희망씨 도서관'은 그런 김 시장의 뜻에 따라 시작됐다. 도서관 운영에 참여하는 시민들을 뜻하는 희망씨들은 스스로 회의를 통해 도서관을 어떻게 운영할지, 어떤 프로그램을 기획할지 결정한다. 도서관 운영에 참여하는 것을 넘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것.

희망씨 도서관은 4곳에 이르며 희망씨들은 160여명이다. 김 시장의 아내도 월곶도서관에서 희망씨로 활동한다. 김 시장은 "시민들이 이용자·부모의 입장에서 도서관을 운영하니까 설득력 있는 프로그램들이 나온다"고 말했다.

물론 시가 완전히 손을 뗀 것은 아니다. 사서직 공무원 2명이 희망씨들을 지원하며 시민들의 요청에 대해 예산 집행을 하고 시민들이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한다. 희망씨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동기 부여를 하는 데도 적극적이다.

김 시장이 처음 2011년 신천도서관을 희망씨 도서관으로 운영하자고 할 때는 시 내부의 반대가 있었다. 시민들이 운영하다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 책임은 고스란히 떠맡아야 한다는 두려움이 반대의 기저에 있었다.

김 시장은 "이미 시민 사회에는 준비된 시민 자원이 많이 있다고 다소 반강제로 설득을 했다"면서 "다행히 처음 시작한 신천도서관이 잘 운영됐고 이후 희망씨 도서관을 만들자고 할 때는 내부 우려나 저항 없이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과 포함된 사진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3845 [서울]서울시민 문화활동에 연 12만원 지출 매체 :뉴스핌 보도일 :2019.06.23
    3844 [대구]대구시 행복북구문화재단, 작은도서관에서 행복한 추억 만드세요 매체 :국제뉴스 보도일 :2019.06.22
    3843 [충북]‘2019년 대한민국 독서대전 시민기획단’ 출범 매체 :내외뉴스통신 보도일 :2019.06.21
    3842 [제주]제주시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마중물배움터 확대 매체 :헤드라인제주 보도일 :2019.06.21
    3841 [서울]영등포 출퇴근길, 스마트도서관에서 책 빌려 본다 매체 :헤럴드경제 보도일 :2019.06.21
    3840 [전남]목포시의회 이금이 의원, 작은 도서관 운영 방안 제시 매체 :프라임경제 보도일 :2019.06.20
    3839 [인터뷰]정경미 흥덕마을 작은도서관 연합회 대표 "8년째 이어진 책 잔치… 사람들도 성장했죠" 매체 :중부일보 보도일 :2019.06.19
    3838 [전남]순천시, 시민들의 삶속에 문화가 있는 도시로 매체 :위키트리 보도일 :2019.06.19
    3837 [전국]작은 동네 생활 SOC시설 넓어진다…배드민턴장·도서관 등 매체 :메디컬월드뉴스 보도일 :2019.06.19
    3836 [전북]정읍시 “전북 서남권 문화 허브 되겠다” 매체 :nsp통신 보도일 :201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