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남]‘화투’만 치던 할머니들의 삶에 새로운 활력소
매체명 : 김해뉴스
보도일 : 2016.07.27
시호작은도서관, 코사지 강좌 - 어르신 10명 참가 즐거운 시간
한림면 지신리 시호마을 시호복지회관 2층에는 '시호미래작은도서관'이 있다. 회관 1층은 경로당과 피로 개선실이 있는 어르신들의 쉼터 공간이다. 2층에는 체력증진실과 도서관이 있다. 작은 건물 한 동에 주민들의 쉼터와 문화공간이 공존한다. 마을 주변은 온통 논과 밭이어서 문화공간을 찾을 수 없다. 그래서 작은 규모이지만 도서관이 있다는 사실이 반갑다. 문화 혜택에서 소외된 농촌지역에 소중한 공간이다.
지난 20일 오후 2시 시호미래작은도서관에서 '코사지 만들기' 수업이 열렸다. 참가자들은 동네 어르신들이었다. 70~80대 할머니 10명이 수업을 받기 위해 도서관에 모였다.
코사지를 만든다는 말에 할머니들은 "잘 할 수 있을까"라며 걱정했다. 그러다 오간디 리본을 갖고 바느질을 한다는 말을 듣고는 다들 자신있다며 환하게 웃었다. 리본에 한 땀 한 땀 홈질을 한 뒤에 잡아 당겨 꽃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꽃 술로 인도 마노석이라는 보석을 박은 뒤 뒤편에 핀을 붙여 가슴에 달 수 있게 하는 작업이었다.
강사가 코사지 재료를 할머니들에게 나눠 주었다. 채소물이 든 까만 손톱으로 홈질을 하며 할머니들은 연신 즐거운 표정이었다. 다들 "요즘은 바느질을 할 일이 별로 없다. 오랜만에 바늘을 잡으니 옛 생각이 난다. 요즘 젊은이들은 바느질을 할 줄 몰라 작은 수선거리도 수선집에 맡긴다"며 아쉬워했다. 수업에 참여한 천인숙(72) 할머니는 "예전에는 옷을 만들거나 꿰매 입으려고 바느질을 했다. 장식용 꽃을 만들려고 바느질을 하기는 처음이어서 즐겁고 재미있다"고 말했다.
할머니들은 코사지를 완성한 뒤 가슴에 달고 예쁜 모습으로 사진을 찍었다. 다들 마치 어버이날 같다며 밝게 웃었다. 이금옥(74) 할머니는 "예전에는 화투를 치거나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는 게 고작이었다. 강좌가 생겨 새로운 작업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가지니 잡생각이 사라지고 머리도 맑아져 정말 좋다"고 말했다. 박학남(82) 할머니는 "취미생활이 부업으로 연결돼 일거리가 되면 좋겠다. 아직 건강해서 충분히 일을 할 수 있다. 취미생활도 하고 경로당 공동경비도 만들어 쓰면 좋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시호미래작은도서관은 주민들이 책을 읽고 빌려 가는 공간일 뿐 아니라, 농촌의 단조로운 일상에 새로운 활력을 주고 문화체험을 하게 만드는 소중한 공간이다.
※기사 전문과 포함된 사진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한림면 지신리 시호마을 시호복지회관 2층에는 '시호미래작은도서관'이 있다. 회관 1층은 경로당과 피로 개선실이 있는 어르신들의 쉼터 공간이다. 2층에는 체력증진실과 도서관이 있다. 작은 건물 한 동에 주민들의 쉼터와 문화공간이 공존한다. 마을 주변은 온통 논과 밭이어서 문화공간을 찾을 수 없다. 그래서 작은 규모이지만 도서관이 있다는 사실이 반갑다. 문화 혜택에서 소외된 농촌지역에 소중한 공간이다.
지난 20일 오후 2시 시호미래작은도서관에서 '코사지 만들기' 수업이 열렸다. 참가자들은 동네 어르신들이었다. 70~80대 할머니 10명이 수업을 받기 위해 도서관에 모였다.
코사지를 만든다는 말에 할머니들은 "잘 할 수 있을까"라며 걱정했다. 그러다 오간디 리본을 갖고 바느질을 한다는 말을 듣고는 다들 자신있다며 환하게 웃었다. 리본에 한 땀 한 땀 홈질을 한 뒤에 잡아 당겨 꽃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꽃 술로 인도 마노석이라는 보석을 박은 뒤 뒤편에 핀을 붙여 가슴에 달 수 있게 하는 작업이었다.
강사가 코사지 재료를 할머니들에게 나눠 주었다. 채소물이 든 까만 손톱으로 홈질을 하며 할머니들은 연신 즐거운 표정이었다. 다들 "요즘은 바느질을 할 일이 별로 없다. 오랜만에 바늘을 잡으니 옛 생각이 난다. 요즘 젊은이들은 바느질을 할 줄 몰라 작은 수선거리도 수선집에 맡긴다"며 아쉬워했다. 수업에 참여한 천인숙(72) 할머니는 "예전에는 옷을 만들거나 꿰매 입으려고 바느질을 했다. 장식용 꽃을 만들려고 바느질을 하기는 처음이어서 즐겁고 재미있다"고 말했다.
할머니들은 코사지를 완성한 뒤 가슴에 달고 예쁜 모습으로 사진을 찍었다. 다들 마치 어버이날 같다며 밝게 웃었다. 이금옥(74) 할머니는 "예전에는 화투를 치거나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는 게 고작이었다. 강좌가 생겨 새로운 작업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가지니 잡생각이 사라지고 머리도 맑아져 정말 좋다"고 말했다. 박학남(82) 할머니는 "취미생활이 부업으로 연결돼 일거리가 되면 좋겠다. 아직 건강해서 충분히 일을 할 수 있다. 취미생활도 하고 경로당 공동경비도 만들어 쓰면 좋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시호미래작은도서관은 주민들이 책을 읽고 빌려 가는 공간일 뿐 아니라, 농촌의 단조로운 일상에 새로운 활력을 주고 문화체험을 하게 만드는 소중한 공간이다.
※기사 전문과 포함된 사진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509 | [서울]학교 끝난 아이들 작은도서관·마을활력소로 | 매체 :내일신문 | 보도일 :2019.01.17 |
3508 | [칼럼]도서관? 공공 도서방! 아이를 함께 키우는 마을 디자인 | 매체 :시티라이프 | 보도일 :2019.01.16 |
3507 | [광주]주민 손으로 만드는 광주 마을공동체(10)늘따순 풍암마을 풍두레 | 매체 :광주매일신문 | 보도일 :2019.01.16 |
3506 | [울산]‘2019년 행복한 울산 마을공동체 탐방기’를 시작하며 | 매체 :울산저널 | 보도일 :2019.01.16 |
3505 | [서울]이웃과 함께 살기 좋은 아파트 만들어요!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9.01.16 |
3504 | [전남]“세상풍파 詩가 된 할매들의 삶 스크린에 담았죠” | 매체 :광주일보 | 보도일 :2019.01.16 |
3503 | [서울]은평구, 은평알림톡 서비스 실시··· 20여종 업무 카카오 알림톡으로 안내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9.01.15 |
3502 | [인천]인천 연수구립 도서관, 2019 책 읽어주기 자원봉사자 발대식 개최 | 매체 :매일일보 | 보도일 :2019.01.15 |
3501 | [충북]2019년 청주시 작은도서관 사업설명회 개최 | 매체 :경인투데이뉴스 | 보도일 :2019.01.15 |
3500 | [서울]은평구 '문화나눔사업' 실시…소외계층 무료 공연·강좌 제공 | 매체 :뉴스온 | 보도일 :201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