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도서관 생태계' 만든 파주

매체명 : 조선일보 보도일 : 2016.03.09
링크주소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2016&M=03&D=09&ID=2016030900141
파주는 '책의 도시'다. '글이 피어오른다'는 뜻을 담고 있는 파주시 문발(文發)동 일대에 조성된 파주 출판단지에는 국내 굴지의 출판사 700여곳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한 해 전국에서 출간되는 책의 33.4%가 파주 출판단지에서 만들어진다.

이런 파주가 이제는 '도서관의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파주시에는 14개 공공도서관, 55개 작은 도서관 등 총 69개의 도서관이 실핏줄처럼 얽혀 있어 시민들에게 책 읽을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30만권의 장서를 갖춘 '지혜의 숲'처럼 특색 있는 독서 공간도 있다.

◇거미줄 같은 도서관 네트워크

파주는 지난 2000년까지만 해도 시 전역에 공공 도서관이 3곳뿐이었다. 시는 2006년 교하택지지구, 2009년 운정신도시가 완공되면서 15만명이 새로 입주하자 이에 맞춰 도서관 숫자를 14곳으로 대폭 늘렸다. 파주시 면적(672㎢)은 서울과 안양을 합친 것만큼 넓지만 인구는 서울의 23분의 1(43만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파주시는 도서관을 늘리면서 접근성을 특별히 고려했다. 멀어서 도서관을 다니지 못하는 시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파주시는 문산읍과 금촌동, 적성·파평면 등을 '북부권'으로, 운정신도시와 교하지구를 '남부권'으로 묶은 뒤 권역별로 거점 도서관을 한 곳씩 세웠다. 거점 도서관 밑에는 분관 도서관을 만들었다. 거점 도서관은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 본래 역할을 맡고, 분관 도서관은 영어·어린이로 대상을 특화한 도서관 등으로 꾸몄다. 이 외에도 작은 도서관 55곳을 파주시 구석구석에 지었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775 [울산]큼직큼직 두꺼운 그림책, '빅북'을 아시나요? 매체 :오마이뉴스 보도일 :2015.02.02
    774 [전북]남원시, '오들 작은도서관' 조성 매체 :헤럴드 경제 보도일 :2015.02.02
    773 [부산]작은도서관, 큰 광장이 되다 매체 :부산일보 보도일 :2015.02.01
    772 [부산]배움터로 나눔터로… '공동체 살리기' 변화를 길어내다 매체 :부산일보 보도일 :2015.02.01
    771 [부산]부산의 작은도서관 현황, 1995년 첫선… 연간 이용자 수 118만 명 '훌쩍' 매체 :부산일보 보도일 :2015.02.01
    770 [경북]구미시 ‘꿈나무 작은 도서관’ 문 열다 매체 :대구일보 보도일 :2015.01.30
    769 [서울]구로구청 가면 1만2000권 책 소장 북카페 있다 매체 :아시아경제 보도일 :2015.01.29
    768 [광주]조승유 광주 광산구의원 작은도서관 활성화 온힘 매체 :프라임경제 보도일 :2015.01.29
    767 [경남]"도서관이 있는 아파트에서 사는 건 큰 행복" 매체 :김해뉴스 보도일 :2015.01.28
    766 [울산]동구청, 사립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추진 매체 :울산매일 보도일 :201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