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전국] [눈높이 사설] 지역 문화거점 공공도서관 확충 시급
매체명 : 국제뉴스
보도일 : 2016.03.14
인간의 사상과 활동의 기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에 따라 기록을 보존하고 정리한 곳.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장치이며, 문화적인 기관이 바로 도서관이다. 특히 지식사회에서의 도서관은 인류가 쌓아 온 보물창고이고,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지식의 정거장이자 전달자가 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크고 작은 도서관을 지어 주민 지식 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은 국민의 교양과 조사 연구 및 오락 등 그 이용에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지역사회의 사회교육기관 또는 평생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부산의 도서관 실상을 보면 안타깝다. 현재 지역 공공도서관은 35개에 불과하다. 도서관 개당 인구로 따지면 10만1708명이나 된다. 전국 평균은 5만5191명이다. 결국 부산은 타 지역민들보다 배나 많은 시민이 도서관 1개를 이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고 도서관이 집 근처 가까운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부산시민 47%만이 걸어서 15분 이내 있는 도서관을 이용할 만큼 교통이 불편한 외진 곳에 있고 사서도 부족해 도서관에 가더라도 노인이나 어린이는 충분한 혜택을 기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는 공부방 역할에서 주민 친화공간이 돼야 한다. 특히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이 주인공이다. 지식과 문화, 생활과 정보가 공유되고 소통하는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의 '10분 이내 도서관 이용 시스템 구축' 공약을 현실화하려면 현재 35개에 불과한 지역 공공도서관을 70개로 늘리는 과감한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도서관이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 '지역공동체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부터 콘텐츠, 운영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절실하다. 도서관이 지식놀이터가 돼야 한다. 신동현·신금초 교사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공도서관은 국민의 교양과 조사 연구 및 오락 등 그 이용에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지역사회의 사회교육기관 또는 평생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부산의 도서관 실상을 보면 안타깝다. 현재 지역 공공도서관은 35개에 불과하다. 도서관 개당 인구로 따지면 10만1708명이나 된다. 전국 평균은 5만5191명이다. 결국 부산은 타 지역민들보다 배나 많은 시민이 도서관 1개를 이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고 도서관이 집 근처 가까운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부산시민 47%만이 걸어서 15분 이내 있는 도서관을 이용할 만큼 교통이 불편한 외진 곳에 있고 사서도 부족해 도서관에 가더라도 노인이나 어린이는 충분한 혜택을 기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는 공부방 역할에서 주민 친화공간이 돼야 한다. 특히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이 주인공이다. 지식과 문화, 생활과 정보가 공유되고 소통하는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의 '10분 이내 도서관 이용 시스템 구축' 공약을 현실화하려면 현재 35개에 불과한 지역 공공도서관을 70개로 늘리는 과감한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도서관이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 '지역공동체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부터 콘텐츠, 운영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절실하다. 도서관이 지식놀이터가 돼야 한다. 신동현·신금초 교사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245 | [경기]김포시, 시립도서관 전성시대 만든다...장기, 풍무, 마산, 운양 등 개관 '줄줄이' | 매체 :CNB뉴스 | 보도일 :2018.09.27 |
3244 | [경기]오산시, 오는 11월부터 '초등생 온종일돌봄 조례' 시행 | 매체 :한국경제 | 보도일 :2018.09.27 |
3243 | [칼럼]소리없는 도서관의 '거대한 기여' | 매체 :매일경제 | 보도일 :2018.09.27 |
3242 | [서울]관악구, 가을하늘 수놓는 '별 헤는 독서캠프' 개최 | 매체 :아시아타임즈 | 보도일 :2018.09.27 |
3241 | [유럽]진주혁신도시 공공도서관 어떻게 지을것인가(5) | 매체 :경남일보 | 보도일 :2018.09.26 |
3240 | [경기]가평서 ‘평생교육 어울림 큰잔치’ 열린다 | 매체 :경기신문 | 보도일 :2018.09.26 |
3239 | [칼럼]내 정신의 영토에 쌓아올린 ‘못읽은 책’들의 왕국 | 매체 :한겨례 | 보도일 :2018.09.21 |
3238 | [통계]취준생·직장인 독서에 대한 관심도 감소…이유는? | 매체 :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8.09.21 |
3237 | [경기]시민과 함께한 2018년 파주북소리 축제 | 매체 :중부뉴스통신 | 보도일 :2018.09.20 |
3236 | [서울]옛집과 골목이 ‘책의 숲’ 안으로…마을이 된 도서관 | 매체 :중앙일보 | 보도일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