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 [집중취재-작은도서관 ①] 아파트 단지마다 위치한 '작은 도서관'을 아십니까
매체명 : 데일리한국
보도일 : 2015.11.20
[데일리한국 곽다혜 인턴기자] “공공도서관이 집에서 30분 거리라 자주 가지 못하겠더라고요. 그래도 집 앞 주민센터에 있는 작은도서관 덕분에 가끔이나마 읽고 싶은 책을 빌려 볼 수 있어 좋아요. 공공도서관보다 시설이나 규모가 작긴 하지만 아이들이 자주 드나들면서 책을 접할 수 있으니 그걸로 만족해요.”
최근 가까운 주민센터 혹은 500인 이상 아파트 단지에서는 ‘작은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된 마을 문고가 자리 잡고 있다. 작은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지역 생활권 내에 정보서비스를 보충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규모의 도서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2004년 도입해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작은도서관은 크게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지자체 직영 공립 작은도서관과 민간업체에 위탁하는 공립 작은도서관 그리고 기업, 단체,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개설해 운영하는 사립 작은도서관으로 분류된다. 공립의 경우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립 작은도서관보다 관리와 지원이 잘 되는 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작은도서관의 규모와 장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가까운 주민센터 혹은 500인 이상 아파트 단지에서는 ‘작은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된 마을 문고가 자리 잡고 있다. 작은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지역 생활권 내에 정보서비스를 보충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규모의 도서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2004년 도입해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작은도서관은 크게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지자체 직영 공립 작은도서관과 민간업체에 위탁하는 공립 작은도서관 그리고 기업, 단체,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개설해 운영하는 사립 작은도서관으로 분류된다. 공립의 경우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립 작은도서관보다 관리와 지원이 잘 되는 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작은도서관의 규모와 장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945 | [인터뷰]최은주 "인문학 꽃 피우는 도서관…동네 주민 모이는 문화공간 만들어야" | 매체 :한국경제 | 보도일 :2015.04.12 |
944 | [경기]누구에게나 열린 지식창고 도서관 | 매체 :내일신문 | 보도일 :2015.04.12 |
943 | [강원][원주]원주시립도서관 행사 다양 | 매체 :강원일보 | 보도일 :2015.04.11 |
942 | [대구]대구동부도서관 이동도서관 소장도서 1만1천권 학교 지원 | 매체 :해일신문 | 보도일 :2015.04.11 |
941 | [서울]관악구, ‘싱글벙글 교육센터’ 시범운영에 들어가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5.04.11 |
940 | [인천]문화를 배달해 드립니다. | 매체 :업코리아 | 보도일 :2015.04.11 |
939 | [경기]부천시립도서관 인문학강의·도서 꾸러미 대여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5.04.10 |
938 | [서울]은평구, 도서관별 다양한 행사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5.04.10 |
937 | [제주] 작은도서관협회, 전통문화 그림책 원화 순회전시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5.04.10 |
936 | [경기]가평군 '도서관 주간' 운영 "봄, 지식을 꽃피우다"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