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울산] 작은도서관, 학생·직장인에겐 그림의 떡 -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 제안
매체명 : 경상일보
보도일 : 2015.09.29
대부분 오후 5~6시 폐관…주말에 문 여는 곳도 드물어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279 | [경기]양주시 천마병영도서관 ‘작은도서관 대상’ 수상 | 매체 :파이낸셜뉴스 | 보도일 :2018.10.12 |
3278 | [칼럼]美 공공도서관을 키운 힘 `카네기 공식` | 매체 :매일경제 | 보도일 :2018.10.12 |
3277 | [칼럼]걱정 앞서는 생활 SOC | 매체 :세계일보 | 보도일 :2018.10.11 |
3276 | [충북]충북 도서관 “실종된 양심이 모두 돌아왔어요” | 매체 :서울신문 | 보도일 :2018.10.10 |
3275 | [전북]제21회 전북 어린이다독왕대회 시상식 성황리 마쳐 | 매체 :페어뉴스 | 보도일 :2018.10.10 |
3274 | [칼럼]요즘 무슨 책 읽어? | 매체 :경인일보 | 보도일 :2018.10.10 |
3273 | [국회]문체위 회의실 앞을 미술관·공연장으로…'문화샛길' 조성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8.10.10 |
3272 | [서울]구로구 “책 축제에서 마음 살찌우세요”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8.10.10 |
3271 | [전북]'책의 도시 전주' 책 읽는 사람 줄고, 동네서점 문 닫을 판 | 매체 :새전북신문 | 보도일 :2018.10.09 |
3270 | [경기]파주시 도서관, 전국도서관 최초 스마트폰 서비스 운영 | 매체 :경기북부포커스 | 보도일 :2018.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