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울산] 작은도서관, 학생·직장인에겐 그림의 떡 -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 제안
매체명 : 경상일보
보도일 : 2015.09.29
대부분 오후 5~6시 폐관…주말에 문 여는 곳도 드물어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379 | [경기]경기도, '공공도서관 통합도서지원시스템' 구축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18.11.19 |
3378 | [전남]나주시, 2018년 작은도서관 운영자 회의 개최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8.11.19 |
3377 | [제주]돌아온 아이들 '시끌벅적', 상가리 도서관 작은 축제 성황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8.11.18 |
3376 | [제주]제주 지역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어떻게 | 매체 :한라일보 | 보도일 :2018.11.18 |
3375 | [대전]하브루타 질문독서법, 한밭도서관 ‘작은도서관 실무교육’ 실시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18.11.17 |
3374 | [서울]“확 바뀐 주거환경…활기가 도네요” | 매체 :문화일보 | 보도일 :2018.11.16 |
3373 | [경북]경주시립도서관 “지역 단체에 책 드려요” | 매체 :대구신문 | 보도일 :2018.11.15 |
3372 | [대구]100년 역사 대구중앙도서관 활용방안 놓고 티격태격 | 매체 :경향신문 | 보도일 :2018.11.15 |
3371 | [전남]귀농·귀어 부모들 책에 반색… “문화시설 큰 고민 하나 덜었어요” | 매체 :동아일보 | 보도일 :2018.11.15 |
3370 | [충북]음성군, 작은 도서관 지역 문화공간 자리매김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