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울산] 작은도서관, 학생·직장인에겐 그림의 떡 -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 제안
매체명 : 경상일보
보도일 : 2015.09.29
대부분 오후 5~6시 폐관…주말에 문 여는 곳도 드물어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근무시간보다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을
울산지역의 상당수 작은도서관들이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겐 ‘그림의 떡’이되고 있다. 늦은 시간 개관과 이른 시간 폐관으로 이들의 접근이 원천 차단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 작은도서관이나 운영비 일부를 지원받는 사립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을 이용자 편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중구청이 75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달 초 개관한 울산시 중구 복산동 도화공원내 ‘가까운도서관’. 이 도서관은 주민들이 집 근처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동네 공원에 들어섰다. 그래서 도서관 이름도 ‘가까운’이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시간을 보면 개관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열고, 주말에는 개관하지 않다보니 방과 후 수업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생이나 중·고교생, 직장인들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다. 일부 학생과 전업주부만을 위한 도서관인 셈이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334 | [충북]증평군립도서관, 작은 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공모사업 2년 연속 선정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20.03.09 |
4333 | [인천]동구 ‘만석비치 생각버스 작은도서관’ 재탄생 | 매체 :경기신문 | 보도일 :2020.03.08 |
4332 | [경남]'2020년 김해시 올해의 책' 선정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20.03.05 |
4331 | [전남]광양시, 태인동 도시재생사업 본격 추진 | 매체 :메트로신문 | 보도일 :2020.03.04 |
4330 | [경기]파주시 독서공동체 지원 공모 | 매체 :경기도민일보 | 보도일 :2020.03.03 |
4329 | [제주]제주지역 140곳 이상 생겨난 ‘작은도서관’…활성화 필요 | 매체 :제주일보 | 보도일 :2020.03.02 |
4328 | [경기]독서 넘어 문화교류의 장으로… 작은 공간 변신은 무궁무진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20.03.02 |
4327 | [충북] 청주시, 남일.가덕 기초생활거점육성사업 본격 추진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20.03.02 |
4326 | [광주]광주 ‘전국에서 가장 책 읽기 좋은 도시’ 조성에 총력…스마트폰에 얽매인 시민 시선 책으로 돌린다. | 매체 :국민일보 | 보도일 :2020.03.01 |
4325 | [전남]광양시, 2020 독서동아리 육성 지원사업 시행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