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과제 - 박상신 인천시 문화예술과장

매체명 : 경인일보 보도일 : 2015.08.03
링크주소
http://www.kyeong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989111
작은도서관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공공도서관에 비해 설립이 쉽고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우리 동네 사랑방인 셈이다. 법적으로는 건물 면적이 33㎡이고 열람석이 6석 이상이며 1천권 이상의 장서를 갖추어야 한다.

작은도서관은 1960년대 농촌계몽의 마을문고로 출발해 1980년대 지역주민의 독서실로 노동자와 도시 빈민의 문화기반이 됐다. 2012년 작은도서관 진흥법이 제정됐다. 이는 작은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고, 제도권의 보호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인구비율 증가와 가족 구성원의 변화추세가 몰고 온 문화의 다양성은 도서관의 운영과 서비스형태의 다변화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공공도서관의 본래 기능·역할의 확대는 물론이고 서비스지역의 확대도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공공도서관의 확충은 많은 재정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보완재적 대안이 필요했다. 그 중심에 작은도서관이라는 존재가 들어서게 된 것이다. 특히 작은도서관은 문화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밀집지역과 구도심에 위치해 주민들에게 학습과 독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 및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55 화성시, 작은도서관 행복학습지원센터 구축 매체 :노컷뉴스 보도일 :2013.05.20
    54 재능교육, 양천구 작은도서관 활성화 지원 매체 :연합뉴스 보도일 :2013.05.18
    53 경기도 작은도서관 다양한 문화행사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5.09
    52 SK에너지, 전국 아동센터에 책·도서관 선물 매체 :연합뉴스 보도일 :2013.05.08
    51 서울 첫 '기적의 도서관' 설계에 나선 김병옥 기용건축 소장 매체 :아시아경제 보도일 :2013.05.07
    50 [군포] 작은도서관 5개소 평생학습 거점시설로 시범 운영 매체 :OBS 보도일 :2013.04.30
    49 성동구 "읽을거리 풍성한 작은도서관 이용하세요"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4.30
    48 대구에 '작은도서관' 열풍 매체 :매일신문 보도일 :2013.04.26
    47 [경기도]작은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지원계획 발표 매체 :아크로팬 보도일 :2013.04.25
    46 경기도, 38개 작은도서관에 독서문화프로그램 지원 매체 :뉴시스 보도일 :201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