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 [사설]주목되는 동네서점들의 연대와 자구 노력
매체명 : 경향신문
보도일 : 2015.05.25
개정된 도서정가제가 시행된 지 6개월이나 지났음에도 아직 그 효과는 미미한 듯하다. 반값 할인은 중단됐지만 제휴카드 청구 할인 등 우회적 방법으로 정가제를 위반하는 사례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당초 고사 직전의 지역서점을 살리겠다는 취지도 무색해졌다. 기대가 컸던 동네서점들은 도서정가제 이후 오히려 서점을 찾는 손님이 더 줄었다고 불만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강동구의 동네서점 11곳이 대형서점에 맞선 자구책으로 협동조합을 꾸려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점 주인들만 모여 정식 인가를 받은 전국 첫 서점협동조합이라고 한다. 강동구청도 구립도서관과 동주민센터의 작은 도서관 등에서 조합의 책들을 우선 구매하기로 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고 한다. 지자체들의 동네 작은 서점 지원 정책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셈이다. 서울과 부산의 각 구청들과 경기 고양시와 수원시, 전북 전주시 등 지자체들은 이미 도서관의 책을 지역서점에서 구입하는 등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 등 지역 교육청들도 산하 도서관들의 지역서점 도서 의무구매를 시행하고 있다.
※기사 전문은 상단의 링크주소에 있는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강동구의 동네서점 11곳이 대형서점에 맞선 자구책으로 협동조합을 꾸려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점 주인들만 모여 정식 인가를 받은 전국 첫 서점협동조합이라고 한다. 강동구청도 구립도서관과 동주민센터의 작은 도서관 등에서 조합의 책들을 우선 구매하기로 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고 한다. 지자체들의 동네 작은 서점 지원 정책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셈이다. 서울과 부산의 각 구청들과 경기 고양시와 수원시, 전북 전주시 등 지자체들은 이미 도서관의 책을 지역서점에서 구입하는 등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 등 지역 교육청들도 산하 도서관들의 지역서점 도서 의무구매를 시행하고 있다.
※기사 전문은 상단의 링크주소에 있는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005 | [서울]노원구, 육사와 '작은도서관' 건립…내일 개관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16.12.21 |
2004 | [경기]의정부과학도서관, 찾아가는 작은도서관 독서교실 | 매체 :경기도민일보 | 보도일 :2016.12.21 |
2003 | [서울]양천구 다문화 특성화 '넓은들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아시악경제 | 보도일 :2016.12.21 |
2002 | [경기]작은 변화에서 시작되는 용인표 감동행정 | 매체 :도민일보 | 보도일 :2016.12.20 |
2001 | [경남]거창한마음·가조작은도서관 상호협력망 구축 | 매체 :뉴스경남 | 보도일 :2016.12.20 |
2000 | [대구]작은도서관을 마을공동체 거점으로 육성 | 매체 :신문고뉴스 | 보도일 :2016.12.20 |
1999 | [경북]포항시 ,도서관 별 자원봉사 활동 발전방안 워크숍 개최 | 매체 :내외뉴스 | 보도일 :2016.12.19 |
1998 | [경기]양평 옥천고읍내도서관, 우수 작은도서관 선정 | 매체 :서울일보 | 보도일 :2016.12.19 |
1997 | [경남]김해기적의도서관, 문화소외지역 독서문화 격차 해소 | 매체 :데일리한국 | 보도일 :2016.12.19 |
1996 | [경기]의정부시 작은 도서관 운영, 책읽는 도시 위상 높인다 | 매체 :경기일보 | 보도일 :2016.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