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작은도서관' 1천 곳에 400권씩 지원
매체명 : KTV 한국정책방송
보도일 : 2013.08.27
앵커>
전국의 '작은 도서관' 상당수가 책과 예산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매년 취약지역에 있는 천개의 작은도서관에 각 400여권씩 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김형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작은 도서관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보다 가깝게 책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됐습니다.
하지만 2010년 3천 349곳의 작은도서관 가운데 전체의 65%가 관리 운영이 미흡한 부적정 판정을 받았습니다.
김형규 기자 q007@korea.kr
현재 운영 중인 작은 도서관의 대부분이 부족한 서적과 관리시스템 부실, 그리고 인력 문제를 꼽고 있는데요, 예산과 인력 문제에 허덕이는 작은 도서관들을 위해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
현재 전국의 작은도서관에 근무하는 전문사서는 한 곳 당 1명이 안 되는 0.2명.
이에따라 지역구 작은도서관을 번갈아 방문하는 순회 사서가 올해 48명에서 내년에는 100명, 2017년엔 400명으로 4년 안에 10배 가까이 늘어납니다.
또 지역 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 지도와 문화행사를 마련하는 전문강사가 방문하는 도서관도 올해 50개관에서 14년 100개관 17년에는 300개관으로 늘어납니다.
농어촌과 저소득층 거주지 등 문화 취약지역의 작은도서관 천 곳에는 한 곳당 400여권, 매년 양질의 서적이 보급됩니다.
이렇게 마련된 책들을 적은 인원으로 손쉽게 관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도 2014년에 제공됩니다.
int> 김성호 단장,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서 행정체계 확립 갖추고 운영활성화 통해 작은도서관 관리시스템 구축과 개선 통해 본인의 기능 수행할 수 있게 하겠다.”
이외에도 문체부는 지자체와 함께 하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운영이 부실한 작은 도서관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지역사회가 추천하는 우수 도서관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상도 실시할 방침입니다.
KTV 김형규입니다.
※영상 및 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전국의 '작은 도서관' 상당수가 책과 예산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매년 취약지역에 있는 천개의 작은도서관에 각 400여권씩 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김형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작은 도서관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보다 가깝게 책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됐습니다.
하지만 2010년 3천 349곳의 작은도서관 가운데 전체의 65%가 관리 운영이 미흡한 부적정 판정을 받았습니다.
김형규 기자 q007@korea.kr
현재 운영 중인 작은 도서관의 대부분이 부족한 서적과 관리시스템 부실, 그리고 인력 문제를 꼽고 있는데요, 예산과 인력 문제에 허덕이는 작은 도서관들을 위해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
현재 전국의 작은도서관에 근무하는 전문사서는 한 곳 당 1명이 안 되는 0.2명.
이에따라 지역구 작은도서관을 번갈아 방문하는 순회 사서가 올해 48명에서 내년에는 100명, 2017년엔 400명으로 4년 안에 10배 가까이 늘어납니다.
또 지역 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 지도와 문화행사를 마련하는 전문강사가 방문하는 도서관도 올해 50개관에서 14년 100개관 17년에는 300개관으로 늘어납니다.
농어촌과 저소득층 거주지 등 문화 취약지역의 작은도서관 천 곳에는 한 곳당 400여권, 매년 양질의 서적이 보급됩니다.
이렇게 마련된 책들을 적은 인원으로 손쉽게 관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도 2014년에 제공됩니다.
int> 김성호 단장,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서 행정체계 확립 갖추고 운영활성화 통해 작은도서관 관리시스템 구축과 개선 통해 본인의 기능 수행할 수 있게 하겠다.”
이외에도 문체부는 지자체와 함께 하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운영이 부실한 작은 도서관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지역사회가 추천하는 우수 도서관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상도 실시할 방침입니다.
KTV 김형규입니다.
※영상 및 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399 | [경기] 교양시, 시민들과 함께 ' 책 읽는 도시' 만든다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12.08 |
1398 | [전국] 이영애·김훈·유홍준이 말하는 책읽기의 힘 - 고맙습니다 작은도서관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5.12.02 |
1397 | [경남] 김해·밀양·양산 도서관독서회 연합발표회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5.12.02 |
1396 | [경남] 독서문화 선도 ‘화합의 장’ -김해ㆍ밀양ㆍ양산 공공도서관 독서회 연합 발표회 ‘책 읽는 밤’ | 매체 :경남매일일보 | 보도일 :2015.11.26 |
1395 | [서울] 양천구 신정2동 ‘공감쉼터 북카페형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5.11.25 |
1394 | [대전] "민관이 대등한 협치조직 만들어야 마을만들기 가능" - 대전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 | 매체 :오마이뉴스 | 보도일 :2015.11.24 |
1393 | [광주] 2015 광주 문화다양성의 날, 오는 27일 개막 - 문화예술작은도서관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5.11.24 |
1392 | [서울] [집중취재-작은도서관 ②] 지원 부족으로 너무나 작아진 '작은도서관' | 매체 :데일리한국 | 보도일 :2015.11.24 |
1391 | [경기] 수원시, 인도래 작은도서관 개관식 개최 - 수원 첫 공립 작은도서관 | 매체 :이뉴스투데이 | 보도일 :2015.11.24 |
1390 | [울산] “공공도서관 역할 미흡…작은도서관 활성화해야”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15.11.24 |